-
-
런던을 속삭여줄게 - 언젠가 떠날 너에게
정혜윤 지음 / 푸른숲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교양인을 위한 런던 여행서다. 교양인? 요새는 책도 교양이 있어야 읽나? 워워... 진정하시라. 여기서 잠깐 정혜윤식 교양인의 정의를 내려야할 듯 싶다. 교양인이라 함은 고흐의 '해바라기' 앞에서 고흐가 미쳐서 고갱의 귀를 잘랐다고 아들에게 설명하는 아빠의 모습이고, 웨스트민스터 사원 앞에서 고딕이 뭐요?라고 묻는 아저씨의 모습이다. 이들의 공통점을 눈치챘으려나? 바로 알고자 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이야기꾼의 모습. 다시 말해 이 책, <런던을 속삭여 줄게>는 런던이 궁금한, 런던에 대해 이야기 좀 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란 말씀.
책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정혜윤, 이 사람부터 좀 짚고 넘어가야겠다. 책을 너무 좋아하는 그녀, 우리에겐 프로듀서로 더 잘 알려진 그녀, 이미 책에 대한 책을 두 권이나 써낸 그녀. 하나 더하자면 천상 이야기꾼. 넉살스레 적당한 곳에 적절한 글귀 끼워넣는 재주로 매번 자신을 시샘하게 만드는 여자다. 그런 여자가 쓴 런던 여행기라니. 읽고 나면 엉덩이가 들썩거리고 눈 둘 곳을 못 찾을 것 같아 애써 피하는 중이었는데... 결국 또 만났다. 정혜윤 표 책을.
웨스트민스터 사원과 세인트 폴 대성당을 지나 대영박물관과 자연사박물관,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을 거친다. 수많은 볼거리에 지칠 때쯤이면 한 숨 놓으면서 사람 구경 좀 하라고 트라팔가르 광장에 데려다놓고 이어 런던탑과 그리니치 천문대까지. 숨쉴틈 없는 빡빡한 일정이 우리를 기다린다. 물론! 원한다면 중간에 쉬어가도 좋고, 여기 별로야 싶으면 뛰어 넘어가도 좋다. 그러나... 그럴 수 있을까? 아마 헥헥거리며 온 런던 한 바퀴를 다 돈 후에야 아픈 다리 주무르며 휴, 한숨을 내쉴거라고 예상한다. 나도 그랬으니까. (실제로 피곤한 건 다리보다는 눈과 머리겠지만 말이다.)
그런데 정혜윤을 따라 가는 런던 여행. 이거 만만치않다. 그저 현재의 장소들이나 휘적 따라다녀볼까 했더니 저 멀리 몇 백년전까지 기어올라간다. 소년 시절의 뉴튼부터 영국의 영웅 넬슨 제독에, 인류의 역사를 바꿔놓은 다윈 할아버지도 만난다. 하긴 그 정도면 양반이지. 역대 영국 왕이며 피의 여인들까지 만나뵈려니 이쯤되면 몸이 절로 조아려질판이다. 그래서 불만? 절~대 아니다. 사실 우리야 고맙지... 가만히 한 자리 앉아서 멋진 시인들이며 화가들의 예술세계까지 공으로 만나는 걸.
거침없는 지식의 향연은 역시 정혜윤 책만의 맛깔스러움이다. 거기에 훔쳐내고 싶은 그녀의 말빨이 더해진다. 로이드 존스의 <미스터 핍>에 등장하는 다니엘 할머니를 따라 한 이 말은 너무도 매력적이다. "런던을 알고 싶니? 런던 대신 파란색을 말해줄게." 나도 이런 식으로 누군가에게 이야기를 해 줄수 있다면 정말 최고일텐데! (그래서 정혜윤이 런던 대신 파란색을 말해줬는지는... 음, 생각을 좀 해봐야겠다. 아마 정혜윤도 아직 그 경지까지는 오르지 못한 것 같다.)
그러나 저러나 여행이란 시작하면 끝나게 마련. 이야기에서 이야기로 이어지며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정혜윤의 런던 여행기도 어느 새 마침표를 찍는다. 아쉽지만 독자들도 마침표를 찍는 수 밖에... 일리가 없지. 정혜윤은 부탁한다. 이 책을 더 두껍게 만들어달라고, 모든 독자들에게 말이다. '여행과 인생에는 치명적인 공통점이 있다. 계속해야 한다는 것. 그래서 이 여행서는 언제나 첫번째 여행서이다.' 뒷이야기는? 바로 이 글을 읽는 당신의 몫이다. 런던에 다녀왔건 앞으로 갈거건, 평생 가지 않을거건 아~무런 상관없다. 그냥 맘에 드는 이야기에 조금 살 붙이기. 그것만으로도 이 책은 런던에서 시작하는 또 다른 재미난 이야기로 번져나갈 것이다. 자, 이제 너의 이야기를 속삭여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