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 눈물이 나는 책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300여페이지의 책을 읽는 내내 내 눈에서는 눈물 한 방울 맺히지 않았다. 내 감수성이 이렇게 메말랐던가 라며 책을 덮고 모니터 앞에 앉아 첫 글자를 쓰려고 하는데 눈물이 흘렀다. 한 방울, 두 방울, 주르륵. 난, 왜 울고 있는걸까.

 

엄마라는 존재에 대해 생각해본다. 분명 엄마 또한 어린 시절, 소녀 시절을 지나 밝게 피어오른 20대를 보냈을텐데, 많은 사람들에게 엄마란 그저 엄마일뿐이다. 새삼 나 또한 나의 엄마가 아닌 엄마의 삶을 생각해 본 적이 없었음을 깨닫는다. 언젠가 여자를 엄마로, 아내로만 봤던 전경린의 책을 보고 이러면 안된다고 분개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신경숙의 <엄마를 부닥해>도 주제를 따지자면 다르지 않을 듯 싶었다. 그러나 느낌만은 전혀 달랐다.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한다.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

아들 둘, 딸 둘을 키워 서울에 안착시킨 부모가 생일을 맞아 서울로 올라온다. 그러나 어이없게도 서울역에서 지하철로 갈아타는 데 놓쳐버린 엄마. 그녀를 찾기 위해 아들들과 딸들은 서울 시내를, 어느 새 자신들의 과거를 돌아본다. 문득 치고 올라오는 과거의 이야기와 감정들 속에서 놓쳐버린 엄마의 모습들이 수면 위로 떠오른다.

 

신경숙은 엄마를 내몬 자식들을, 남편들을 탓하지 않는다. 물론 잃어버린 엄마를 찾는 과정에서 스스로 고통스러워하고, 반성하는 그들의 모습을 통해 엄마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라고 우리에게 넌지시 전하고 있는지는 모른다. 그러나 책에서 그렇게 고생하고, 혼자 아프던 엄마는 불쌍하지 않다. 아니, 오히려 그녀를 내버려둔 다른 가족들보다 행복해보이기까지 한다.

 

아직 엄마가 아닌 나는, 엄마의 마음을 헤아리기에도 어린 나는. 그 고생을 하면서도 싫은 소리 한 번 안하고 미소 지으며 살아온 '엄마'로서의 박소녀를 이해하긴 힘들다. 그러나 책을 읽는 내내 그 마음만은 부러웠다. 비록 자식들에게 쓴 소리도 듣고 남편한테 살가운 정 한 번 못 받았어도 왠지 그녀는 다 알고 있었으리란 생각도 들었다. 모든 것을 포용하는 엄마의 마음이란 게 이런걸까.

 

누군가 '소설은 참 어렵다' 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그 때 난, 소설은 이야기인데 어렵긴 뭐가 어렵나며 타박했었는데. 문득 그 말이 따갑도록 나를 파고든다. 어려운 말 한 마디 없던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는 나에게 너무 어려운 소설이었다. 아무렇지 않은 듯 읽어내려갔지만 결국 다 읽고 나서도 한 마디 제대로 감정 표현조차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엄마' 라는 단어가 나를 목매이게 한 걸까. 성질 나면 전화를 끊어버리고, 마음과 달리 차갑게 내뱉던 첫째딸의 모습이 나와 오버랩되어 불편하기라도 했을까. 마지막 피에타 상을 보고 나와서야 차마 하지 못한 한 마디를 입술 사이로 내뱉던 딸의 모습이 내가 되지 않기를, 오늘이라도 살갑게 엄마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길 바래본다. 그러나 또 다시 엄마의 얼굴을 보면 어색함에 툭툭거릴 내 모습이 그려져 창피해지는 시간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엄마는 나에게 '엄마'라는 걸. 엄마에게도 엄마가 필요하다는 걸 깨닫기에 난 아직은 조금 더 커야하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