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빈곤대국 아메리카 르포 빈곤대국 아메리카 1
츠츠미 미카 지음, 고정아 옮김 / 문학수첩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터졌던 국제 금융문제로 자국의 심각한 문제를 온처하에 드러냈던 미국. 미국의 문제투성이 속사정을 속시원히 긁어내 보여주는 책이 나왔다. 이를 분석한 건 미국인이 아닌 일본인 저널리스트 츠츠미 미카다. 과연 그녀가 바라본 아메리카란 나라의 한 꺼풀 벗겨진 뒷 모습은 어디까지 썩어있을까. 상상했던 이상의 문제들이 그녀의 입과 손을 통해 밝혀진다.

 

이야기는 총 5장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빈곤으로 인한 비만인구, 민영화, 자유화가 낳은 난민들, 아팠단 이유만으로 빈곤층이 된 사람들, 어쩔 수 없이 군으로 고개를 돌리는 젊은이들, 민영화된 전쟁으로 내몰리는 근로빈곤층. 우리가 아는 잘 먹고 잘 사는 미국인은 어디로 가고 이런 모습들로 가득찬 아메리카가 남은 것일까.

 

과거, 비만은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잘 먹으니 살이 찌는 게 당연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먹을 것이 풍요로워진 지금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잘 사는 사람들은 잘 먹으면서도 세련되게 운동까지 하면서 적당한 몸을 유지하고, 오히려 돈이 없어 매일 인스턴트 음식으로 때워야 하는 가난한 사람들은 비만에 걸린다. 먹을 게 없어 햄버거라도 먹어야 사는 사람들. 배가 고프고 영양 균형도 맞지 않음에도 비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은 안쓰럽다 못해 화가 난다.

 

불과 몇 달 전 한국에도 몰아쳤던 민영화 바람, 그 처참한 결과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하는 국민들의 안전과 건강을 다루는 부서, 병원들이 민영화되면서 사람들은 마땅히 누려야 할 안전조차 누리지 못하고 오히려 국가의 겉멋들이기 정책에 살 곳조차 잃어버렸다. 그 뿐인가, 몸 한 번 잘못 아팠다가 파산하는 사람들. 문득 몇 달 전 한국을 휩쓴 의료보험 민영화가 이루어졌다면 이란 생각이 떠오르자 끔찍함에 몸서리쳐진다. 그야말로 내 몸 맘대로 아프지도 못하는 세상인 것이다. 국민을 위한 국가란 이미지는 지금의 미국에서 이미 사라진 지 오래다.

 

고학력 시대, 대학을 나와도 일자리를 얻지 못해 아르바이트로 연명하는 것은 비단 미국의 일뿐만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 갈 곳 없이 빚더미에 앉은 젊은이들의 선택은 전쟁이다. 하고 싶은 공부조차 하지 못하고, 외지로 내몰리는 젊은이들로 가득한 나라 어디에서 우리는 희망을 찾아야 하는걸까.

 

몇 프로의 부유층을 위해 착취당하는 대다수의 빈곤층은 정상적인 국가의 모습이 아니다.  그 뿐이 아니다. 자유주의를 부르짖으며 단행한 자유화, 민영화로 인해 빈곤층으로 전락한 중산층의 모습은 더 이상 미국만의 이야기가 아니었다. 미국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 화살은 미국을 따르는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을 향함을 눈치챌 수 있었다. 그래서였을까, 읽는 내내 불편했다. 저 이야기가 곧 우리 나라, 우리 가족 그리고 나의 이야기가 될 것만 같아서. 겉포장만 잘 된 나라 미국, 그리고 그들을 따라가는 한국의 모습에 문득 몇 십년, 아미 몇 년 후의 미래가 무서워진다.

 

물론 이 책에 나온 이야기들만이 진실은 아닐 것이고, 여기서 다뤄지지 않은 좋은 점도 있을 것임은 안다. 그러나 분명히 지금 상태에 머무리는 것도, 이대로 나아가는 것도 옳지 않다. 단순히 국가 탓만을 할 것이 아니라, 보다 똑똑한 국민으로서의 개개인 의식의 변화 또한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조금 충격적이더라도 의식을 깨울 수 있는 이런 책을 종종 만나게 되길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