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 내게로 왔다 - 이주향의 열정과 배반, 매혹의 명작 산책
이주향 지음 / 시작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사랑, 이보다 달콤한 단어가 있을까. 한편으론 얼마나 고통스럽고 슬픈 단어일까, 사랑이란. 사랑의 색은 다양해 하나의 모습으로 그려낼 수 없다. 마치 이 책의 표지 -하나처럼 보이는 듯 서로 다른 실루엣과 같이 말이다. 그 다양한 사랑의 이면들을 철학교수 이주향이 그려냈다. 명작과 함께 그려내는 사랑의 철학적 단상을 고맙게도 우리는 넙죽 받아먹을 수 있게 되었다.

 

<사랑이, 내게로 왔다>는 명작 속의 남녀 주인공을 통해 사랑의 여러 모습을 철학적으로 살펴보는 독특한 책이다. 때론 책 속 문장을 인용하면서 두 남녀가 만들어내는 러브스토리를 전하고 그 안에서 사랑의 철학적 주제들을 이끌어낸다.

 

책에서는 다양한 커플들을 만날 수 있다. 열정적으로 후회없이 사랑한 그들 -사흘간의 짧지만 영원한 사랑을 한 요석공주와 원효대사, 전쟁을 불사하면서까지 사랑한 헬레네와 파리스도 만날 수 있다. 배신함으로써 다시 돌아올 수 밖에 없는 그들을 만나기도 한다. 금기를 어겨 헤어졌지만 결국 충만한 사랑을 되찾은 프시케와 에로스는 배반과 사랑의 오래된 신화적 원형이다.

 

그런가하면 사랑의 아름답지 않음을 보여주는 커플도 만날 수 있다. 분노로서 사랑을 내버린 사람들 -바리를 버린 오구대왕, 네흘류도프에게 버림받고 매춘부가 된 카튜샤, 한낱 질투로 인해 사랑하는 부인을 죽인 오셀로- 를 보다보면 사랑의 바로 뒷면은 얼마나 나약하고 무서울 수 있는지 새삼 느끼게 된다. 그러나 결국 그들을 구원하는 것 또한 사랑이었다. 그러니 사랑이란 얼마나 대단한지!

 

한가지 특이한 점은 고전 속 여자 인물들을 대상으로 한 가상 인터뷰다. 이 짤막한 인터뷰를 통해 각각의 고전에서 저자 본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포인트를 다시 집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문에서 조금 아리송했던 부분들이 바로 여기서 조금은 맑아지는 듯도 하다.

 

처음 시작은 사랑으로 했지만, 이 책에서는 사랑 그 이상을 느끼고 배울 수 있다. 바로 삶. 사랑에서 선과 악을, 선과 악의 대비에서 결국 우리네 삶으로 돌아오는 그 일련의 순환을 이주향씨는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그려낸다.

 

중요한 건 세상의 이치를, 삶의 아름다움과 진리를 깨달은 사람들에게는 사랑이 있었다는 점이다. 물론 사랑은 배신과 고통을 안겨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인정할 때 우리는 진정한 '나'와 '너'를, 신과의 만남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니, 그리 거창하게 말 할 것도 없을지 모르겠다. 결국 이주향씨가 우리에게 건네려던 말은 그저 사랑하고, 그로 인해 아름다워지라는 한 마디뿐일지 모르니.

 

그대들이여, 미치도록 사랑하고, 미치도록 아픔도 느껴보고, 그로 인해 성숙한 삶에 안착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