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밥바라기별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혹자는 황석영을 문학계의 큰 별이라고 이야기한다. 언제나 진중한 문체로 우리의 지나온 모습을 그려오던 그가 새로 펼쳐낸 세계는 이전과는 다른 솔직함과 풋풋함이 가득하다. 이미 십대의 추억에서 먼 거리를 달려나간 사람이 쓰는 십대의 이야기. 과연 얼마나 공감할 수 있고, 재미있을까?

 

십대의 정점 고등학교 시절에 한 배를 탄 준, 영길, 인호, 상진, 정수 그리고 선이와 미아. 이들이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화자들이다. 이야기의 시작은 준. 베트남 파견을 가는 군행열차 안, 준은 고등학교 시절로 생각을 돌린다. 데모와 총질이 난무하던 시대, 한 무리의 고등학생들은 시내 나들이에서 친구 한 명을 잃는다. 이어지는 퇴학과 휴학. 아이들의 삶은 정해진 철로에서 삐그덕거리기 시작한다.

 

학교에 남는 대신 방황하는 준과 친구들은 그들만의 아지트에서 예술을, 사랑을 논하며 청춘을 바친다. 그리고 어느 여름, 정처없이 떠난 여행길. 그들은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얻었을까. 이 책은 방황하는 청춘의 모습을 담은 책이다.

 

자신의 삶을 책 속 인물에게 이리저리 투영시켰다는 소설 속 장면 자체는 지금의 십대 모습과는 확연히 다르다. 학교를 관두고 변변한 차비 없이 떠나는 여행, 학교에 남아있지도 삶에 뛰어들지도 못하는 경계 속 인물들의 모습은 솔직히 낯설다. 학교라는 틀 안에서 하라는 것만 하면서 조용히 지내온 모범생 부류였던 나로서는 그야말로 소설 속 이야기일 뿐이었다. 작가 스스로 "이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다" 라는 말에도 정말 이렇게 파란만장한 시간을 겪었을까? 란 생각이 먼저 들었다.

 

그럼에도 책이 다가오는 느낌은 낯설지 않다. 겉으로 겪은 일이야 사람마다 달라도 청춘, 그 시기를 지나는 속마음은 시대가 바뀌어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지에 대한 막막함, 지금 내가 잘 하고 있는 건가의 불확실함, 남녀 사이의 아릿한 감정. 끝없이 고민하기에 아름다운 나이이지만, 그 속 또한 한없이 타들어만 가는 시기가 십대가 아닐까.

 

가라는 길이 아닌 자신만의 길을 찾아 떠나는 주인공들의 모습에 눈길이 간다. 어디로 가서 부딪칠지 모르는 각박한 삶이지만 잘해보라고 응원하고 싶다. 

그게 나쁘냐? 나는 말야, 세월이 좀 지체되겠지만 확실하게 내 인생을 살아보고 싶은 거다.

나는 궤도에서 이탈한 소행성이야. 흘러가면서 내 길을 만들 거야 -p.41

그렇다. 조금 늦어져도 결국 자신이 원하는 길을 간다면 그 시간들은 아깝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삐뚤어질테다"를 외치며 집을, 학교를 박차고 나오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만 무조건 끌려가는 삶이 아닌 내가 주인이 되는 삶을 생각하며 살아가라는 조언. 먼저 그 시절을 보낸 사람으로서 황석영 작가는 그 마음을 지금의 청춘들에게 전해주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인생이란 누구도 딱 한 번 살아가는 과정이다. 비단 청춘 때뿐이 아니라도 우리는 끝없이 헤매이는 존재일지 모른다. 그렇기에 황석영이 보여주는 방황의 시간들이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게 아닐까란 생각이 든다. 나만 방황하는 것이 아니란 안도, 더하게 아픈 사람도 있다는 안도. 준과 친구들을 통해 '나의 길을 걸어갈 용기'를 얻는 사람들이 더 많아지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