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의 글쓰기
셰퍼드 코미나스 지음, 임옥희 옮김 / 홍익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글쓰기에는 힘이 있다."

 

힘든 시간을 '글'이란 녀석과 부대끼며 살아온 나의 청춘은 이 말에 긍정한다. 그대로 주저앉고 싶을 만큼 무력감에 빠질 때 나를 다시 밖으로 이끌어준 것은 언제나 글쓰기였다. 블로그에 주절이 늘어놓았던 글, 작은 노트에 솔직하게 써내려간 말들은, 그렇게 토해냄으로써 나를 삶으로 돌려주었다.

 

여기 글쓰기의 효능을 몸소 체험한 또 한명의 사람이 있다. 꾸준히 글을 씀으로써 몸의 질병까지 떼어버릴 수 있었던 셰퍼드 코미나스. 다른 사람들에게도 '글을 통한 새로운 나와의 만남' 알려주기 위해 글쓰기 워크숍을 진행하는 사림이다. 처음에는 저자도 고개를 갸웃거리며 시작한 일기쓰기가 이제는 50년을 넘어선 습관이 되었다고 한다. 정말 효과가 있는걸까? 그렇다면 어떻게 써야하는걸까?

 

저자가 말하는 '일기쓰기' 란 온전히 자신과의 만남을 이야기한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는 것, 바로 그 지점에서 치유는 시작된다. 자신을 만나는 과정은 쉽지 않다. 온갖 방어로 둘러싸인 벽을 타파해야만 그 안에 갇힌 나를 볼 수 있거니와, 그렇다해도 여전히 무방비상태의 나를 보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그런 약한 나에게 다가가는 한 가지 방법은 질문이다. 특정한 주제를 골라도 좋고, 그저 하루 일과의 어느 지점에서 시작해도 좋다. 생각하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다보면 그 끝에는 분명 진정한 나와 만나는 문이 있게 마련이다. 물론 한 번에 그 문이 열릴리 만무하다. 저자 또한 강조하듯 처음엔 어렵더라도 일단 3개월을 목표로 그저 한 줄이든, 한 단어든 써보는 것이다. 변화는 분명히 찾아온다.

 

그렇다면 생각을 하면 되지, 구지 왜 써야하나? 라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나의 경험상 생각과 쓰기는 다르다. 특히 종이에 펜을 갖고 쓴다는 행위 자체는 자신이 내뱉는 감정에 대해 물러섬없이 받아들인다는 의지를 내포한다. 그렇기에 저자는 컴퓨터 상에 입력하는 것이 아닌, 노트에 펜으로 쓰는 작업을 권한다. 입력은 손쉬운 수정이 가능하고, 그만큼 자신을 더 방어하게 되기 때문이다.

 

코미나스가 권하는 글쓰기의 방법은 간단하다. 아무 노트, 아무 펜을 들고 당신이 편한 장소 어디든 앉아서 쓰라는 것이다. 다만 매일 쓰고, 3개월 이상 쓰라고 한다. 또 하나, 절대 비밀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오로지 나만이 볼 수 있어야 솔직한 자기 감정이 나올 수 있음이다. 이렇게 간단한데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글쓰기를 두려워한다. 그러나 일기쓰기는 작품이 아니다. 완벽과 자신을 만나는 것에 대한 부담을 버릴 때 글쓰기는 진정 치유의 힘을 발휘한다.

 

나 또한 2년여 넘는 시간을 블로그와 작은 노트를 통해 나 자신과 만나고 있다 생각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며 느끼기에 난 여전히 자신을 위함이 아닌 보여주기식의 글을 쓰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끄러웠다. 스스로를 치유하고 있었다는 자만심이, 말로만 번지르르하고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한 나약함이. 

 

책에는 단순한 일기쓰기를 넘어 '글쓰기 워크숍'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글쓰기 방식들을 소개한다. 유언편지, 여행기, 꿈목록, 그림그리기 등등. 이 많은 것들을 자유자재로 다루기에 아직 우리는 버거울지 모른다. 그러나 그 과정들이 보다 나은 내일의 나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됨은 부인할 수 없다. 지금의 내가 모자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조금씩 글을 통해 발전해가는 나를 만나고 싶다. 그 과정에 이 책은 책 이상의 조언자가 되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또 다른 누군가에게도 책 이상의 책으로 곁에 남을 수 있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