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20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달콤하다. 이 책에 대해서 다른 어떤 수식어가 필요할까. 사실 책을 막 덮은 지금 나는 딱 한 마디로 이 책,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의 리뷰를 마치고 싶은 기분이다. 그래야 책이 주는 느낌을 더 이상 훼손시키지 않을테니까. (그래도 차마 그럴순 없어서 눈물을 머금고 부연부연.)

 

그렇다. 이 책은 달콤하고 사랑스럽고 아기자기하며 귀여운 책이다. 읽다보면 함께 병아리 똥만큼 자신을 작게 만들어야 할 것 같은 마법의 세계. 그러나 분명 소설의 배경은 현실이다. 청춘들이 밤을 지새는 거리, 축제, 학교. 돌아보면 바로 우리의 일상인 모습들로 가득찬 소설인데, 어떻게 이런 마법같은 시간을 만들어낸걸까, 작가는.

 

일단 표지. 도도하게 걸어가는 여인네를 멍 + 저기요 상태로 부르는 남자. (자세히 보면) 신발 끈이 풀려서일까, 얼음땡 놀이라도 하는걸까, 그대로 굳어버렸다. 한편 한 손에는 동그란 사과 들고, 어깨에는 잉어를 매고 걷는 그녀. (역시 자세히 보면) 도도하기보다는 순수한 표정이다. 이쯤되면. 귀여운 여인을 짝사랑하는 찌질남 이야기?!

 

반은 정답이고 반은 오답이다. 일단 주인공 '나'(선배)는 선배 결혼식장에서 본 그녀에 한 눈에 반한다. 이제부터는 저 성을 뚫고 들어가기 위해 일단 밖에 둘러친 해자를 채워넣기 시작한다. 시도때도 없이 우연을 가장한 그녀와의 만남, 그러나 순진한 그녀는 정말 '우연'히 선배를 만나는 줄만 아는데. 그렇게 흐르는 시간 동안 '나'는 밤거리에서 한바탕, 헌책방 축제에서 한바탕, 학교 축제에서 목숨걸고 한바탕, 마지막으로 감기의 신이 휩쓸고 간 도시에서 한바탕 하며 그녀 뒤를 쫓는다. 그렇다면 우리의 사랑스런 그녀의 속마음은?

 

열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난 아직 못 들어봤다. (대부분 사람들은 10번 찍기 민망해 한 대여섯번 찍고 포기해서 안 넘어가는지도 모른다.) 그리 수도없이 쫓아다니니, 순진한 그녀의 마음도 슬쩍슬쩍. 반년의 해자 매우기 끝, 새로운 관문 연애의 시작으로 소설은 안녕을 고한다. 새벽부터 일어나 준비하는 그들의 모습은 어쩜 그리 사랑스러운지, 첫 데이트는 달콤 가득이다.

 

창가의 멍한 선배 곁으로 걸어가는 그녀의 마지막 한마디. "이렇게 만난 것도 어떤 인연." 새로 시작하는 연애가 무조건 그동안의 짝사랑보다 쉬운 길은 아닐 것이다. 어쩌면 더 힘들고 복잡할지도 모르겠고. 하물며 그렇게 그녀와의 사랑을 꿈꾸던 '나'조차도 첫 데이트 앞에서 짝사랑 시기로의 회귀를 꿈꿀까.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연애를 꿈꾼다. 왜? 짝사랑의 애달픔보다는 연애의 콩닥콩닥이 즐거우니까!

 

그렇게도 이렇게도 만나는 게 사람 일이라면, 당신과 나의 만남도 마찬가지 아닐까. 나도 따라 말해본다.

"이렇게 만난 것도 어떤 인연. 우리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