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패턴 - 루스 베네딕트 서거 60주년 기념, 새롭게 탄생한 문화인류학의 고전
루스 베네딕트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화인류학의 대표적 학자인 루스 베네딕트. 그녀를 처음 만난 건 <국화와 칼>이란 일본인과 일본을 다룬 책이었다. 당시 책을 읽으며 '일본인도 아시아인도 아닌 미국의 학자가 자신의 세계와는 전혀 다른 문화를 이렇게 깊이 있게 통찰할수 있다니!' 라며 놀랐던 기억이 난다.

 

문화의 상대성 및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그려낸 <문화의 패턴>은 루스 베네딕트의 또 다른 대표작이다. 주니, 도부, 콰키우틀 세 부족을 다루면서 각 원시부족의 특징을 다룬다. 물론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문화의 다양한 패턴에 대해 논한다. 지금은 당연하게 생각되지만 이 책이 나온 시점이 100여년 전이라고 생각한다면 그녀의 사고 또한 예사롭지 않다.

 

문화는 다양하면서도 어떠한 범주로 묶일 수 있는 통합적 요소가 있다, 사회와 개인의 다른 점을 밝히지만 결국에 그 둘은 조화로워야 하는 유기적 요소이다. 이정도가 베네딕트가 주장하는 문화에 대한 골자가 아닐까 싶다. 지금 보면 "너무 뻔한 얘기 아냐?" 라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녀가 다루는 이야기들은 좀 더 세밀하다.

 

그녀 이전의 시기에도 문화와 인류학에 대한 연구가 없지 않았다. 그러나 이 책에서 '지금까지의 연구는 특징 갖다붙이기에 그치는 아쉬움이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러한 특징들을 잘 버무려 일종의 패턴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라고 밝혀놓았다. 즉 세부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큰 그림을 그려보자는 것이다.

 

베네딕트는 이를 위해 세 종류의 원시 부족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주니족, 도부족, 콰키우톨 족이 그 주인공들이다. 이들에 대한 이야기는 딱딱한 이론이나 논설에 그치지 않아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책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어쩌면 이런 부분이 쉽지 않은 이론서를 대중에게 가까이하도록 해준 것일지도.

 

아폴로 패턴을 지닌 주니 족은 다수가 생각하는 디오니소스적 패턴의 원시부족들의 모습과 달라 더 흥미로웠다. 우리는 흔히 원시부족이라하면 주술적, 신비로움, 미개함으로 대변되는 분위기를 느낀다. 왠지 이성과는 거리가 멀듯한 모습 말이다. 그러나 주니 족의 모습은 오히려 그런 종류의 광기와는 전혀 반대였다. 그러니 단순히 같은 지역, 같은 시기로 한 문화를 싸잡아 말한다는 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솔직히 만만하게 집어들었다가 큰 코 다친 책이었다. 생각보다 책이 다루는 범위가 넓었고 다양한 텍스트들을 이해하기엔 나의 선(先)지식도 너무 짧은 듯 싶었다. 그러나 어렴풋이 느낀 게 없진 않다. 우리는 문화의 상대성을 이해함으로써 더 나은 내일을 향해 한 발 디딛을 수 있다는 희망이다.

 

다 읽은 후에 처음보다 더 많은 궁금증과 어지러움을 느끼며 책을 덮어야만 했지만 세상을 보는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좋은 책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언젠가 다시 열어볼 날을 기대하며 루스 베네딕트와의 두 번째 만남을 끝내려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