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혜초 2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4대 여행기로 손꼽히는 <왕오천축국전>의 저자 혜초. 한 편의 신화와 같은 이야기가 김탁환의 손과 입을 통해 이 시대에 다시 태어났다. 정갈한 맛은 그대로, 팩션이 가지는 흥미로움과 다음 장을 궁금히 만드는 끝없는 이야기는 독자를 위한 또 하나의 즐거움이다. <혜초>를 통해 8세기 실크로드 위를 가로지른다.
처음 책을 집어들 때만 해도 자리잡지 않은 이야기에 마치 꿈결을 걷는 기분이었다. 읽었다 내려놨다 반복하기를 수어번, 1권의 반이 넘어갈 무렵 이야기의 주축이 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아, 풀었다 잡아챘다 하는 줄의 끝머리에 달린 사람의 안타까움이 이럴까. 빨리 넘어가고 싶지만, 좀체 빨라지지 않는 독서가 아쉽기만 하다.
김탁환은 하나씩을 건너 뛰며 혜초의 기록과 현재의 이야기를 번갈아 들려준다. 이야기는 교묘히 맞물리면서 어느 하나 빼먹고 넘어가지 못하게 독자를 잡는다. 책을 덮은 후에도 혜초의 기록 속 단아한 말씨가 맴돈다. '-합니다'체의 다소곳한 말투는 그의 모든 고난과 아픔까지를 아름답게 만드는 힘이 있는 것 같다.
혜초와 당나라의 장군인 고선지가 이야기의 주 축을 이룬다. 이들이 역사적 인물로서 소설을 이끈다면, 독자의 즐거움과 흥미로움을 만드는 허구의 인물로는 상인 김란수와 무희 오름, 야곱이 있다. 처음에는 그저 여행 중 우연히 마주친 인물들로 시작하지만 그 뒤에는 상상하지 못한 음모와 길고도 긴 이야기가 숨어있다.
긴 사막 길, 모래 폭풍을 맞은 고선지는 겨우 목숨을 지켜 돌아오지만 돌림병과 함께 장군으로서의 위기를 맞는다. 그런 그를 살릴 수 있는 한 가지는 같은 모래 폭풍 속에서 살아남은 신라 승려 혜초 뿐. 우연히 길을 같이 한 혜초와 란수, 그 뒤를 쫓는 고선지와 오름. 기록을 통해 밝혀지는 혜초의 여정 속 만남과 사건들은 점점 우리를 헤어나오지 못하게 한다. 얽히고 설킨 이야기의 종착점은 어디일까.
종교를 넘어선 종교와 사람을 넘어선 사람을 그리는 김탁환의 긴 글은 재밌으나 쉬이 넘어가지 않는다. 소재가 된 혜초가 쉽지 않았기에, 그가 걸어간 실크로드로의 따라감이 쉽지 않았기에. 맛깔난 그의 글이지만 나 또한 사막을 헤매듯 그의 글 속을 헤매였다. 여느 소설과 같은 말끔한 마무리를 하기에 나는 아직 너무 작은 존재인가보다. 언제든 기나긴 하루 다시 한 번 조용히 앉아 만나고 싶은 글이다. 혜초와 고선지의 그 깊은 여로를 마음으로나마 다시 만나봐야만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