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워진 빈 자리
스테판 주글라 지음, 김혜경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한 명의 사람을 정의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마할까. 그 사람을 알고 있다는 것은 어디까지를 포괄하는 의미일까. 단순히 그의 이름, 얼굴, 흥미, 직업 등을 아는 정도?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씨라는 것은 그 정도의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를 알고 있다는 의미이지 않을까 싶다.
<채워진 빈자리>에서는 바로 그 허점을 파고 들어 자신의 지긋지긋한 삶을 내버리고 타인으로 분하는 한 여자가 나온다. 마리, 언제나 칙칙한 옷을 입고 머리는 말아올리며 통통한 몸매를 가지고 부동산에서 일하고 있는 여자. 어느 날, 어느 집의 현관문을 어렵사리 따고 들어간 순간 지병인 호흡곤란증으로 쓰러진다.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주인의 고양이를 쓰다듬으며 위험한 생각을 하는 그녀. 무얼 하려는 걸까?
이제 독자들은 마리가 원래 집주인인 마들렌으로 분하는 광경들을 바라보게 된다. 자연스레 왼쪽 발을 절뚝거리며, 긴 머리를 풀고 마들렌의 원피스를 입는다. 마들렌의 친구들, 남편과도 어색하지 않은 시간을 보내며 점차 마리가 아닌 마들렌으로 살아가는 그녀에게 마지막 벽은 지난 애인인 줄리앙 뿐.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아무도 없는 집에서 주인의 흉내를 내는 부분이야 그럴 수도 있겠다 수긍한다해도 원래 주인의 친구, 남편까지 자연스레 속아넘어가는 상황이라니. 분명 마들렌의 자리를 꿰차고 앉아있는 건 마리인데 말이다. 한 인간의 자리라는 것이 얼마나 허무맹랑하고 나약하고 얇은지!
우리는 때로 자기 자신이 지금 이 장소에 없다면 큰일이라도 날 것 처럼 자신을 대단하게 여기지만, 허무할 정도로 쉽게 마들렌의 자리를 빼앗는 마리를 보며 드는 생각은 그렇다. 겨우 눈에 보이는 사소한 만큼만이 '나'일뿐이라고. 새삼스레 나의 존재가 얼마나 미약한지 깨달으며 순간 발 아래가 꺼지는 듯한 기분에 무서울 것 없는 순간에 스산한 공포가 온몸을 전율시킨다.
그렇게 마들렌의 빈 자리를 채운 마리. 줄리앙의 한 바탕 소동도 끝나고 이젠 가면 대신 진정한 마들렌으로서의 새 삶이 기다리고 있을 것 같은 기분좋은 순간. 저자는 마리와 독자 모두를 당혹스러움과 쭈삣한 공포로 몰고간다.
하지만 여기까지. 150페이지의 내용보다 훨씬 짧지만 밀도 높은 강렬함을 전해주는 마지막 서너 페이지를 여기서 공개하는 건 아직 책을 펼치지 못한 독자들에게 너무 가혹한 일이 되리라.
고백하건데 얇은 내용에 비해 쉽진 않은 책이었다. 술술 넘어가지만 때로 ?를 달며 안개 속을 걷듯 읽기도 했다. 책장을 다 덮은 후에도 여전히 물음표가 둥실 떠오른다. 마리, 그녀는 어디에 있는 걸까. 이건 마치 한 편의 거대한 음모와 같은걸까.
지금의 나는 여기에 있는게 맞는걸까. 뭐 이런 생각들을 이리저리 하다보니 쓰고 있는 이 순간조차 현실 어디쯤인지 명확치가 않다. 더운 여름 스산한 서늘함과 지적 유희를 함께 느끼고픈 사람들에게 권하는 찰나의 환상 여행 티켓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