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클래식 6
프란츠 카프카 지음, 홍성광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아듣기는 힘들었지만 그녀가 한 말은." 카프카의 미완성작 장편소설인 <성>은 이렇게 끝난다. 같은 말을 돌려주고 싶다 그에게. "알아듣기는 힘들었지만 당신이 한 말은." 진실의 감춤, 규정되지 않는 모호함, 삶의 부조리함이었냐고. 

실존문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카프카는 또릿한 눈 그러나 무너지기 일보 직전일 듯한 모습과 함께 이해하기 어려운 텍스트로 독자들과 만나곤 한다. 어느 작가라도 그에 대한 연구가 없겠냐 만은 카프카는 왠지 다가가기조차 쉽지 않은 비밀로 둘러싸여있는 듯한 미지의 공포, 신비감을 보여준다.

그의 3대 소설 중 한 편인 <성>(웅진.2008)은 그런 그의 문학적 성격을 집대성했다 해도 아쉬움이 없다. 이야기는 어느 마을에 K가 도착함으로써 시작한다. K, 그는 누구인가. 이름뿐인 토지 측량사. 그 이름에 걸맞은 일은 하지 않지만, 그는 그 목적에 부합해 이 마을에 도착했다. 도착한 첫날부터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키려는 그에게 다가오는 건 싸늘한 눈과 호기심 어린 눈 반반이다.

500페이지 분량의 긴 내용은 전적으로 K에 대한 이야기이다. 끊임없이 성(클람)과 접촉하려는 시도, 그런 그를 둘러싼 마을 주민들의 모습들은 이성적으로 이해하기 난해하다. 호기심 어린 눈으로 K를 들여다보지만 그 안에 순수한 마음은 담겨있지 않다. 오해와 편견과 거짓으로 가득 찬 눈들. 조력하는 듯 성과의 거리를 떼어놓는 그들은 누구인가.
 
체계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듯 보이지만 그 일면에는 위선과 거짓으로 가득 찬, 우연에 맡긴 성의 행정은 또 어떠한가. 성의 비서들의 야간심문에 대한 뷔르겔의 논지는 이성으로 똘똘 포장된 듯 보이나 실상은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진실을 가장한 진실의 사라짐. 그들의 성은 전혀 이성적이고 합리적이지 않다.

진실, 그 것은 무엇이던가. 우리가 언제라도 진실을 가져본 적이 있었던가. K는 다양한 사람들의 진실을 듣는다. 그들이 믿는 진실. 그러나 그 중에 무엇이 진실이라고 할 것인가. 가려 들은 후 나온 K의 의견조차 그저 한 사람 분의 진실일 뿐. 이는 올가의 말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사람들이 진실을 얻을 수 있는 한 그것은 진실일 테고, 아니면 적어도 사람들에게서 듣거나 대개 스스로 꾸며낸 소문이겠지요. 누구나 필요 이상으로 우리를 생각하지만, 이런 일을 입에 담기 꺼려해서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는 거죠. -p. 274

카프카는 K라는 또 하나의 부조리한 인간을 통해 우리 삶의 부조리함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이쯤 되면 결국 진실이란 사람이 만드는 것뿐이라는 진부한 얘기를 할 수밖에 없지만, 어쩌겠는가. 사람이란, 생이란 결코 자로 맞춘 듯 완벽할 수 없음이 또 다른 진실이라면.

그의 소설은 어렵다고 말한다. 물론 그의 소설 이면에 담긴 의미를 하나하나 캐다 보면 그의 소설은 너무나 함축적이고 어렵다. 그러나 소설읽기의 묘미는 읽는 자에 해석에 우선하지 않았던가. 배운 자의 올바른 해석이 하나의 진실이라면 우리는 우리 나름의 진실로 그를 만나봐도 좋을 것이다. 다행히 그의 소설은 재미있다. 아니 마력이랄까, 마지막 활자를 읽을 때까지 손에서 놓을 수 없는 악마의 장난. 이젠 당신이 이야기할 차례다. 

"알아듣기는 힘들었지만 당신이 한 말은." 이 다음을 채우는 건 당신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