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이체르 소나타 (반양장) ㅣ 펭귄클래식 3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기주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사랑. 인간이 만들어낸 최고의 감정이자 아이러니하게도 최악의 감정이다. 꿈같은 행복을 선사하지만, 지옥같은 시간, 끝내는 죽음까지 불러오는 추악한 감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정신적이며 고매한 사랑이 있는 한편 육체적인 성욕으로 떠오르는 현실적인 감정도 있다. 아, 안하고 후회하기 보다는 하고 후회하는 편이 낫다는 시대의 격언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러시아의 대문호 레프 톨스토이가 알 수 없는 사랑, 매혹적이고 위험한 사랑에 대한 4편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러나 조심하시길. 이 책을 읽고나면 당신은 사랑에 대한 불신을 키울지도 모르니. 그런 걱정을 하는 독자를 위한 필자의 급처방전이 있으니, 톨스토이의 후기작인 후반부 세편을 먼저 읽기를 권한다. 그리고 마무리는 '가정의 행복'. 이제 조심스레 그의 연주곡을 들어볼 시간이다.
그가 연주하는 네 편의 이야기는 매우 특징적이며 때로는 노골적으로 사랑을 언급한다. 표제작인 '크로이체르 소나타'를 보자. 한 객차 안에서 심상치않은 한 사내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소설은 다소 극단적인 사상을 이야기한다. 결혼한 여성을 긴 기간의 창녀로 표현하는 극단성, 모든 성욕을 악으로 보는 화자. 그렇게 초반부에서 저자는 결혼이란 울타리침에 대해 비판한다. 그러나 아이러닉하게 소설의 말미로 갈수록 화자는 자신의 질투에 괴로워하고, 여자를 벌주고자 한다. 결말은 살인. 사랑의 실체가 극명하게도 추악한 감정으로 증명되는 순간이다.
필자에게 가장 인상적으로 다가왔던 '악마'는 결혼한 아내에 대한 남편의 의무로서의 사랑을 강조한다. 결혼 전 맺은 동네여인과의 불륜. 결혼 후 그 감정을 버리지 못하는 자신을 돌아보며 끊임없이 괴로워하는 주인공은 결국 극단적 마감을 결심하고야 만다. 자연스러운 성욕의 감정, 남편으로서의 의무. 우리는 그 가운데 어느 지점에 서있는 것일까, 아니 어디에 서있어야 하는것일까. 부질없는 고민으로 생을 마감했다고 하기에 주인공의 고뇌는 너무나 깊었다.
'신부 세르게이'에서는 성욕, 삶의 유혹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한 인간의 끝없는 고뇌의 과정이 펼쳐진다. 그 무엇으로도 채워지지 않을 욕구를 버리는 일은 전 생애를 바친다해도 결코 쉽지 않음을 소설은 가림없이 보여준다. 모든 걸 버려가며 떠나는 세르게이. 그는 자신의 죽음 앞, 모든 욕에서 벗어날 수 있었을까.
그리고 첫 작품 '가정의 행복'이다. 한 부부의 생을 추적하며 따라가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보여주는 이 작품에서 우리는 지금 시대 부부라는 존재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이 세상 단 둘만이 존재할 것 같은 열정적 사랑, 그러나 다름으로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오해와 비판과 환멸. 그럼에도 부부는 다시 살아갈 수 있다. 처음과는 다른 평온한, 가족으로서의 사랑을 안고 말이다.
톨스토이의 자극적인 사랑 논하기는, 사랑 그 자체만큼 매력적으로 그러나 자극적으로 다가왔다. 그가 말한 사랑은 때론 너무나 위험하고 완벽을 추구하기에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가정의 행복'에 나오는 남편 세르게이 미하일리치와 같이 평온하게 자신의 감정과 현실에 솔직하다면 우리는 그 때에 맞는 사랑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가정이란 이름으로 새로운 행복을 찾는 모든 새로운 부부들에게 평안한 행복이 깃들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