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의 쓸모
로랑스 드빌레르 지음, 박효은 옮김 / FIKA(피카) / 2024년 8월
평점 :
고통으로 점철된 삶 속에서 철학의 실용적 쓸모를 고민하다.
『모든 삶은 흐른다』의 저자 로랑스 드빌레르의 신간 『철학의 쓸모』.
심리학과 의학 사이 어딘가에서, 삶의 고통에 대해 철학만이 내릴 수 있는 진단과 치료법을 전한다.
이 책을 처음 펼쳤을 땐 조금 당황스러웠다. 철학가들의 아포리즘이 담긴 책인가 싶었는데, 난데없이 철학이 의학의 성격을 띤다니. 낯섦은 이내 끄덕임이 되었고, 꽤 자주 마음에 드는 문장에 밑줄을 긋기 위해 읽기를 멈춰야 했다.
저자는 머리말부터 쐐기를 박는다. 인간의 삶이란 만만치 않다고. 삶은 감당해야 하는 무엇이며, 자유란 적응, 즉 기존 환경 속에서 나의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특별한 삶, 영웅적인 삶은 지속성이 없다. 어떤 상황에서도 계속되는 건 평범한 일상뿐이다. 단조롭고 반복되는 일상은 우리를 피폐하게 만든다.
이렇게 고통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철학은 마음의 위로 외에 어떤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아니, 철학은 위로하지 않는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마주하게 하고, 우리의 무지를 깨닫도록 이끈다. 더 괴로워지는 게 아니냐고? 수많은 철학가, 다양한 철학 이론이 전하는 철학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인간은 운명의 주인이 아니라는 것. 다만 우리는 우리 자신의 주인으로서, 주어진 환경을 받아들이는 방식만큼은 스스로 정할 수 있다. 언뜻 철학은 우리를 벼랑 끝으로 몰아가는 듯 보이지만, 절벽 끝에서 우리는 질문과 대답을 오가며 진리에 한발 다가선다.
저자는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주어진 삶의 조건들이 산재함을 곳곳에서 보여준다. 여기까지만 보면 철학의 쓸모에 의문을 표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이 지점에서 『철학의 쓸모』만의 매력이 드러난다.
정신적, 이상적인 대상을 다루는 철학과 실전에 바로 적용할 실용적인 조언들로 가득한 자기 계발은 언뜻 거리가 있어 보인다. 이 책은 그 경계를 오간다. 유수의 철학자와 그의 사유에,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자연스레 버무렸다.
어찌할 수 없는 건 받아들이고, 어떤 때는 도망치기도 하고, 때론 겉과 속을 다르게 하며, 나이가 들수록 가벼움과 즐거움을 장착한다. 뻔한 조언만 있지 않다. 삶이라는 질병에 대처하는 다양한 철학적 치료법을 함께 고민한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철학과 달리 긍정적으로 희망을 북돋아 준다며, 영화 보기를 추천한 부분.
적당히 진지하고 실용적이며 주제별 글이 길지 않아, 철학 알레르기가 있어도 가볍게 입문용으로 읽기 좋다. 단호한 문체지만, 읽다 보면 사람에 대한 진심이 묻어 나와 슬며시 미소 짓게 되는 건 안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