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조 사람혁명 - 상대를 내 사람으로 만드는 힘
신동준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삼국지'라는 책을 모르는 사람은 흔치 않을것이다.
글을 아직 배우지 못한 어린아이들을 빼고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 알것이다.
그중 삼국지의 중추적인 주연급 인물인 유비와 관우, 장비, 이 세 사람에 대해서는 모르면 오히려 이상한 사람이라고 오인받을수도...
사람이 살면서 일생동안 삼국지를 세번은 읽어야 한다고 한다.
어린시절, 그리고 성인이 된후, 또 중년이 되어서...
삼국지는 그렇게 세번정도를 읽으면 읽을때마다 와닿는것이 다르고 마음가짐도 달라진다고 한다.
필자는 삼국지를 이제 두번 정독했다.
어렸을적 만화나 동화 만화영화로 본것은 빼고 10권짜리 1질을 두번 정독을 했다.
삼국지를 읽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비를 이상적인 리더로 꼽는다.
요즘 갑작스럽게 세인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장을 유비와 비교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은것 같다.
안철수는 사실 정치적 기반이 없으면서도 또 대선출마선언을 고사하고 있는데도 강력한 대권후보로 꼽는다.
유비가 나라없이 떠돌다가 '형주'땅으 기반으로 세상으로 나온것처럼 안철수도 어떤 형식으로든 기반을 만들어
중앙 정치 무대에 나올거라 예상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필자는 유비보다는 조조의 실용주의를 좋아한다.
이 책 '조조사람혁명'은 조조가 어떤식으로 인재를 얻었고 인재를 어떠한 식으로 등용을 했는지,
또 조조가 천하통일의 기반을 잡은 비결과 그의 인재관으로 풀어낸 책으로 필자의 이상과도 부합되는 책이다.
사실 삼국지에서 조조는 희대의 간신으로 통한다.
하지만 요즘 조조에 대해 새로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조는 신분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인재를 발탁하고 활용하는 놀라운 기질을 가지고 있다.
적이나 경쟁자의 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도움을 청하고 그것을 이용해 얻고자하는것을 곡 얻어내고야 만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고자하는것은 조조의 리더십이다.
그중 가장 중요한것이 '사람혁명'이다
조조에게는 인재를 얻고 활용하는 능력이 대단하다.
삼국지를 읽으면서도 항상 간웅으로 등장하는 조조에 대해 21세기를 살아가려면 그의 지략과 사람을 쓰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늘 생각하곤 앴는데 그 생각은 나만의 생각은 아니었다보다.
저자는 조조를 스티브잡스와도 비교한 대목이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조조는 세인들의 손가락질을 받는 환관의 집안에서 태어났고
스티브잡스는 입양아였다
어린시절 불운했던 시절을 보낸것도 비슷하고, 뛰어난 지략과 경영방식도 비슷하다는 평이다.
이 책을 읽어보고나서는 더욱 확실해졌다.
이 세상은 유비같은 덕장보다는 조조같은 지장이 필요하다는것이다.
빠르게 변화해가는 세태속에서 살아남으려면 조조의 리더십과 사람쓰는 방법을 빨리 익혀야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