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소녀
케이티 워드 지음, 고유라 옮김 / 박하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제목이 가장 완벽한 이 책의 요점정리이다. [책읽는 소녀],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솔깃하여 관심을 가질만한 제목이다.

책 표지를 보면 한 여인이 책을 읽으며 서있는 그림이 보인다. 과연 족ㅎ이 어떠한 공간이고, 또 어떠한 느낌을 받으며 저런 모습으로 책을 읽고 있을까하는 의아심을 갖게 만드는 표지인데 그 의아함이 정답이다. 그런 사진이나 그림에 등장하는 7명의 여인과 7권의 책이 이 책의 주인공이며 이 책의 전부며 이 책이 빛을 발할수 있도록 해주는 생명이다.

7장의 그림과 7명의 여인으로 이루어진 연작같은 작품...그림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이 책에 나오는 그림들은 무한한 작가의상상력들ㅇ에게 빛을 발하게하여 무궁무진한 이야기들을 만들어낼수 있다는 특별한 경험을 할수 있는 책이다.

그림에게 생명을 불어넣주고 있는것 같은 느낌이 들만큼, 그림에서 어떠한 사연이나 사건등을 재해석 해내는 작업이 마치 책을 통해 과거와 미래를 오가며 직접 경험하고 다닌건 아닌지 하는 착각마저 하게 하는 작품이다. 혹시 있었을지도 모를 그런 이야기들을 작가의 상상력만으로 그림밖으로 끄집어내어 독자들에게 들려주며 생각을 하게되고 또, 그 이야기에 매료되어 읽고있다보면 과연 어찌되었을까하는 그 이야기들의 뒷이야기가 궁금해지는 묘한 매력이 있는 작품이다.

이 책을 읽는데는 실로 오랜 시간이 걸렸다. 쉽게말하면 책이 어렵다고 하는것이 맞는 이야기일것이다. 하지만 마력같은 것이 있었다.

어지간하면 책을 읽다가 쉬게되면 그 책은 잊고 다른 책을 찾아 읽게되는데, 이 책은 달랐다. 꼭 읽어야한다는 사명감이 무려 5개월이라는 시간동안 읽다 중단하고 다시 읽기를 몇차례 반복했는지 모른다.

여하튼 이 책은 책을 읽는 여인들을 예술로 승화시켜놓은 작품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책 스스로가 예술이라 말할수 있다. 7편의 각각의 이야기들은 모두 독립적인 구성의 형식을 띄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장들은 첫번째 장을 제외하곤 모두 어떠한 연결고리로 장과 장이 이어지는 기술을 구사했다.

14세기부터 21세기까지의 시대적, 사회적 또는 역사적인 배경들과 사건들을 재해석하여 그러한 내용과 사연들, 예술작품들의 살아숨쉬게 하는 과정들을 각 작품들속에 녹여넣었다. 읽어보면 절대로 후회하지 않을,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순 있지만 계속해서 조금씩이라도 읽어나가다보면 그 책의 이야기에 흠뻑 취해서 7명의 여인들이 눈이 아른거리게될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