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의 문장론 -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하여
헤르만 헤세 지음, 홍성광 옮김 / 연암서가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간만에 읽어보는 에세이? 오랜만에 연암서가에서 좋은 책을 내놓았다. 아니 개인적으로 연암서가에서 나온 책을 오랫만에 읽어보았다란 말이 더 맞는말 같다. 항상 좋은책들을 많이 보여주는 연암서가에게 깊은 감사를 표하고 시작해본다.

[헤르만 헤세]라는 거대한 명성에 비해 그분에 관해서는 잘 알지못했던듯 하다..알고 있는작품이라고는 [데미안]정도,주워들은 지식으로 '유리알유희'라는 작품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는것, 워낙에 고전은 잘 보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서인지 잘 알려진 작품중에서도 일부러 찾아보지 않고는 책의 제목들만을 떠올릴뿐이니 사실 헤세라는 인물에 대해서 아는건 전무한 현실이 사실이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당연 헤세나 까뮈등의 작품들을 이야기하며 그들의 책을 찾아 읽었을테지만 필자는 책을 좋아하긴 하지만 앞에서 언급했듯이 고전보다는 현시대의 작품들이 더 좋다. 지식이 얕아서일까? 그런사람이 나뿐이라면 정말 창피한일일텐데...

우연한 기회가 있어서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책을 읽고난후 한 생각은 오래된 이야기들을 굳이 모든 사람들의 머릿속에 각인시키기위한 작업을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 물론 문학도들이 들으면 돌맞을수도 있겠지만 현시대의 문학들을 좋아하는 나로써는 그렇게 생각할수 밖에 없다.

하지만 지금의 현실은 헤세의 책들, 즉 데미안이나, 수레바퀴 아래서, 유리알유희등, 이러한 소문난 책들을 많은 사람들이 읽어보았건 읽어보지 않았건 헤르만헤세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그 수가 결코 많지않다는건 사실, 그렇기에 헤르만 헤세가 전 세계적으로 대단한 문호인건 확실하다.

이 책은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하여'라는 부제가 훨씬 원제같다.

문장론이라는 표현은 책을 읽다보면 글쎄하며 고개를 갸웃하게 하는 경험을 하게된다. 그렇기에 책읽기와 글쓰기라는 표현들이 이 책에는 더 잘 어울리는듯 하다. 다소 딱딱하게만 느껴졌던 제목이 책을 읽으면서 사르르 눈녹듯이 풀렸던것도 책의 내용들 때문이었다.

에세이 형식의 헤세의 글쓰기와 책읽기에 관한 이야기들이 마음을 편하게 해주었던것 같다.

책을 읽는 50%정도의 사람들은 책이 어려울수도 있는것이 문학적 이론으로 들어가면서 애로사항이 생긴다.
고교시절 국어시간에 그토록 싫어했던 무슨무슨주의 같은 내용이나 인간의 삶에 대한 성찰과 문학적 사조등..그런것까지는 내게는 너무나 어려운 이야기였다. 책은 그냥 재미있게 읽으면 좋은책이라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