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영 이별 영이별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이소설 [영영이별 영이별]의 김별아작가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것이 '선덕여왕'이라는 드라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도 '미실'을 떠올리겠지..사실 필자도 '미실'을 가장 먼저 떠올리지만 굳이 이렇게 이야기하는것은 역사에 대해 해박한 지식이 없다보니 그 드라마를 보고서야 '미실'이라는 인물이 있다는것을 알게되었기때문이다. 필자만 그랬던것은 아닐것이다.. 신라시대의 역사는 대부분 김유신, 관창, 화랑제도,정도만 널리 알려져있었고 대부분 조선시대의 역사와 더욱더 친해졌으니 예전에 알았다가도 기억이 가물가물해진 인물이 아닐까 추측해보며 이 기회를 통해서 무지했던 필자가 신라의 역사에 대한 궁금증도 생겼다.

그래서 책'미실'도 읽게되었고..그 책을 보고 대단한 작가가 있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되었고 김별아 작가에게 많은 관심이 생겨 '미실' 다음으로 '불의 꽃'이라는 책에 이어 이 책 '영영이별 영이별'까지 보게되었다.

역사속에 가려져있던 인물들을 끄집어내어 비운했던 인물들을 시공을 초월한 현시대의 세상에 알린다는것..그것이 김별아 작가의 특기인가보다.

이번작품도 우리가 잘 알지못했던 '정순왕후'라는 비운의 여인의 이야기를 그렸다.

수양대군에 의해 왕위를 찬탈당하고 영월로 유배되어 다섯달만에 세상을 떠난 단종의 비로 2년여를 살다가 단종이 승하하시고 평민으로 전락하는 비운의 여인, 거기다가 '비구니'로까지..

이 소설이 환타지의 형식을 띄는것은 '정순왕후'가 혼백이 된후 저승으로 떠나기전 49일이라는 기간을 설정하여 현시점에서 과거로의 이야기를 역순으로 구성하여 독백형식으로 이야기를 꾸려나간다는것이다.

책을 읽다보면 참 기구한 운명을 지니고 태어난 조선시대의 또 한명의 비운의 인물이라는 생각에 눈물을 찔끔거리게 된다.

이런 독백형식의 책을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어느새 작품속의 주인공과 동화되는듯한 느낌이 든다.

이 책속의 정순왕후가 그렇다. 드라마나 영화를 보더라도 주인공은 늘 안타깝고 불쌍하게 만들기때문에 더 그런것일까?

책을 다 읽고나서 다시한번 김별아 작가가 보통의 작가는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이미 알고있었던 사실이었지만 이 작품이후 확실해졌다.

가려져있던 인물들을 중심에 세우기 위해서는 대단한 상상력이나 창의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는것은 가장 기본적인 작업일것이다.

물론 소설이라는것이 허구를 바탕으로 쓰는것이기때문에 작가의 상상력으로 역사의 한 부분이 왜곡이 되어질수도 있을테지만 오롯이 소설로만 생각을 하고 읽는다면 그리 나쁜 경험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정순왕후의 비운했던 역사.. 사실이 아닐지라도 모두 이 여인을 위해 눈물을 흘리게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