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항 1 버지니아 울프 전집 17
버지니아 울프 지음, 진명희 옮김 / 솔출판사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한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를 타고 떠난 숙녀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

학창시절 시 가 좋아서 외우고 있던 '목마와 숙녀'의 첫 구절이다.

이때부터 익숙하고 친근하게 여겨질정도로 알게되었던 작가 '버지니아 울프'의 글들을 찾아 읽고싶었지만 그녀를 만날수 있는 기회는 별루 없었고 겨우 찾아 읽은것이 [세월]이다.

박인환님의 '목마와 숙녀'덕에 나름 우리나라에서 이름을 어렵지않게 대중적인 작가로 이름을 알린 그녀는 패미니즘의 선구자이고 신여성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스트이다. 여성에 대한 편견을 나름 뒤엎으려는 시도가 다수였고 깨어나야한다는 생각을 많이 했던 인물이다.

 

역시 고전은 나에게는 무리인듯 싶다. 책이 어렵다. 1년여에 걸쳐 여러번 나누어읽고 반복적으로 읽었지만 역시 어려운 책이다.

잠시 쉬었다가 또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 그때는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겠지..

이러저러한 이유로 어지간하면 고전은 피하는 편인데 그녀 '버지니아 울프'의 처녀작이라는 말에 덜컥 읽어보고 싶은 욕심이 생겨 읽게되었던것 같다.

버지니아 울프의 처녀작 [출항]

27살에 집필을 시작하여 34살에 세상에 내어놓은 그녀의 첫 장편소설..뭐 열두어번의 수정을 반복했다라는 말도 들었던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문장이나 단어 하나하나에도 정성이 가득 들어있는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자세히는 모르지만 울프의 문학을 살펴보면 주로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심리나 육체적인 고통, 또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시도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외어온 여성의 해방등이었던걸로 기억한다.

이 책은 그러한 울프의 관심이 직간접적으로 반영되어진것 같다.

가정과 연애, 또 미지의 세계에 대한 여행,

순수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주인공 24살의 귀족 아가씨 '레이첼'의 해외여행과 로맨스, 첫키스, 삼각관계, 등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작은 혁명을 도모한 책, 이 책은 당시의 사회상에 대한 작은 시위였을지도 모른다.

어찌되었든 나에게는 너무나 어려운 소설이었다.

조만간 다시 한번 읽어야하는데 쉽게 시간을 만들어내지는 못할것 같다.

다시 읽을수 있다면 그땐 제대로 된 서평을 써내려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