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름이 끝날 무렵의 라 트라비아타
이부키 유키 지음, 김해용 옮김 / 예담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30대후반의 삶에 지친 두 남녀가 만나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고 위로하며 애틋한 사랑을 나눠가는 49일간의 치유의 기적을 맑은 감성으로 담아내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표지부터 참 예쁘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햇살이 아름답게 비치는 끝을 알수없는 하늘과 맞닿은 자연을 배경으로 한 책의 겉표지를 가만히 보고있자면 마음이 편안해지는 기분을 느낄수가 있다.
테스지와 키미코...
재력과 뒷배경을 겸비한 최상의 조건을 가진 남자이지만 어머니의 죽음으로 인해 인생에 대단 무기력감을 느끼며 마음의 상처를 담아두고있던 서른 아홉살의 테스지..
그리고 사고로 남편과 아들을 먼저 보내고 혼자서 세상을 구경하며 스스로 고단한 삶을 선택한 동갑내기 서른아홉살의 키미코...
그들의 49일간의 사랑은 많은 사람들이 가진 상처를 치유하기에도 충분했던것 같다..
"30대는 붉은 여름의 마지막"
인생을 사계절로 비유하면 30대는 한여름 가장 무더운 8월의 초순정도라는 이야기일것이다.
그 붉은 여름의 끝이 지나고 나면 잔잔하고 시원한 가을이 찾아오고 풍성한 수확의 계절이라는 해석도 가능할것 같다.
김난도 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책에서는 인생을 하루에 빗대기도 한다.
40은 이제 정오에 불과하다...
하루중의 정오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하루의 반을 지나고 이제 하루의 가장 황금시간대인 오후가 되는 시간이기도 하다.
가장 많은 일을 해야하는 오후...
잠깐 책의 본문과 벗어난 내용이었던것 같은데.. 어쨓든 이 책은 감성과 감각 그리고 인생의 참맛을 이야기한다.
지쳐가는 인생을 맞이한 주인공들의 사랑을 이루면서 지구상의 모든 아픔들을 치유하기에 이른다.
한편의 영화를 보고난 느낌..
가끔 우리나라의 막장 드라마를 연상시키는 장면들도 나오긴 하는데 옥의티정도로 생각해도 좋을듯..
하지만 동화같은 감성도 엿보이고 감히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고 이야기하고싶다..
라 트라비아타..어디선가 들어본듯한 느낌이 들었었는데 검색해보니 춘희를 원작으로 한 베르디의 오페라 작품이란다
뜻은 길을 잘못 들어선 여자, 방황하는 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