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 하는 날
최인석 지음 / 문예중앙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제목만 보면 애틋하고 따뜻한 사랑 이야기일것 같다.
하지만 제목을 다시 들여다보면 웬지 수상쩍다...
'연애하는 날'이 아니고 '연애, 하는날'이다. 중간에 쉼표가 어떤 의미로 씌여진건지...
작가인 최인석님의 말을 들어보았다.
" 그냥 '연애'라고 할까 하다가 그건 웬지 성에 차지 않고 뭔가가 부족한것 같고, 그래서 앞에 '연애'를 놓고 뒤에는
앞의 '연애'를 야유하는 기분으로 '하는 날' 이라고 붙였지요. 이 정도로 밖에는 설명할 방법이 없네요"
 
책의 내용은 여러가지로 복잡하고 이것 저것 섞어놓은것 같은데 한번 책을 펼치면 쉽게 읽힌다.
총체적이면서 동시에 개별적인, 머릿속에 아무리 많은 생각을 가지고 있어도 어차피 그 머리는 내것일뿐이다라는 것과 같은 소설.
때론 아프고, 무섭고, 슬프다. 또한 아름답다.
또는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영혼들의 몸부림처럼 보이기도 한다.
불륜이란게 가장 먼저 떠오르고 돈이라는 단어도 떠오른다. 또한 성공과 실패라는 인생의 한계점까지도 보인다.
상처받은 영혼을 안고 치유받기를 갈망하며 소통하기를 꿈꾸는 소설.
이처럼 복잡하고 다양한 심적 느낌이 이 소설에 빛을 내는것 같다.
 
이 책은 불륜과 실직으로 인한 경제적 기반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가정의 붕괴등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 사이에서 흔한 현상으로 인식되어지는 사회적 이슈들을 소재로 삼아 물직적이고
감각적 쾌락에 몰입하는 현대인들의 일그러진 자화상을 담담하게 그려내었다.
 
사실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드라마나 영화속에서나 많이 등장할법한 소재들로 주로 쓰여진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책을 읽어내려가다보면 단편영화를 보고 있는것 같다는 느낌도 들고 아침연속극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들과도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허나 이 책이 관심을 받는것은 근래의 소설적 기법과는 많이 다르다는것이다.
최근의 소설들은 다양한 사건, 복수의 가치관이 충돌하는 세계가 장편소설의 기본 전제라 할 때,
최근 몇 년간 한국 문학에서 이 기본 조건을 충족하는 작품을 만나기는 쉽지 않은 일이었다.
최근 쏟아져나온 젊은 작가들의 장편은, 한 인물의 변화와 붕괴 혹은 성장에 집중하는,
'단편의 양적 확장'으로 불릴 만한 작품이 대부분이었으니까...
물론 한 작품 한 작품을 놓고 볼때 작품의 성취도에 대해서는 독자들 저마다 판단과 해석이 다를 수 있겠지만,
이 책은 소위말하는 총체성이라는 장편의 전제조건을 대부분 충족한다고 한다.
그런점에서 많은 문인들이 이 책의 작품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한다.
 
작가 최인석씨(58)의 10번째 신작 장편소설 '연애, 하는 날'은 사회학적 시선으로 바라본 연애 이야기다.
서로 계급이 다른 남녀 간의 연애가 신분상승의 욕망까지 보태져 한껏 달아올랐다가 참혹한 파탄에 이르는 과정을
정치하면서 날카로운 시선으로 그린, 우리 시대의 ‘인간극장’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책을 읽다보면 자꾸만 나도 모르게 드라마와 연관이 되어지는게 아무래도 드라마화 되어야 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