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맨 - 원시의 뇌가 지배하는 리더십의 탄생과 진화
마크 판 퓌흐트 & 안자나 아후자 지음, 이수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빅맨은 원래 원시시대 소규모 부족의 리더를 일컫는 인류학 용어이다.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탄생한 리더였던 '빅맨'에서 유래되어 지금은 진정한 리더를 일컫는 말이 되어있다.
이책은 리더쉽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인간은 누군가가 이끌고 다수의 선택이 추종하는 조직구조가 집단의 생존에 이롭다는것을 알고있다.
때문에 머릿속에 깊이 박혀있는 우리들의 판단력은 전혀 새로운 집단을 조합해내어도 순식간에 나에게 이로운
리더를 판별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인간은 단 25초만에 리더를 선별해낼수 있다고 한다.
머릿속에 이미 내장되어있는 행동본능이 그렇도록 빠르게 판단을 내릴수가 있다는것이다.
 
'리더가 될것인가, 팔로워가 될것인가' 라는 문제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본적이 있다.
어떤사람들은 리더가 되기를 갈망하지만 또 어떠한 사람들은 리더의 자리에 연연해 하지않고 스스로 팔로워를 자처하여
평생을 리더에게 의존하며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간다.
이글을 쓰고 있는 필자또한 팔로워의 모습으로 세상을 살아가고있다.
필자뿐만이 아니라 필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팔로워에 가까운 삶을 살아가는게 작금의 현실이라 생각한다.
 
이 책은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우리의 유전자속에 아로새겨진 리더에 대한 특징이 무엇인가 하는것을 이야기하고있다.
저자는 리더의 조건으로 외모와 성격, 대중들의 존경심, 관대함, 재산을 꼽는다.
사람들은 남성이며 키가 크고 턱이 각진 사람에게서 '빅맨'의 느낌을 받는다고 한다.
또 성격으로는 당장의 자신의 이익에 급급해하지않고 많은 사람들을 먼저 생각하는 관대한 마음씨를 가진사람을 선호한다.
또한 투사처럼 용맹한 행동까지 겸비한 사람이라면 진정한 리더로써의 자질을 갖췄다고  판단을 내린다.
하지만 저자는 영웅적인 리더쉽은 조심하라고 조언한다.
이유는 현대인들에게는 여전히 “원시의 뇌가 작동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아직도 맹수와 약탈자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줄 빅맨을 선택할 때와 유사한 기준으로 리더를 고른다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21세기형 빅맨’은 사바나의 리더와 달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관대하고 공정한 빅맨은 어느 시대에서나 환영받을 덕성이지만, 리더 선택 과정에서 작동하는 사바나의 기억이 무조건 좋진 않다는 뜻이다.
사바나의 영웅은 부족의 생사를 결정지었지만, 현대의 리더들은 거대 조직의 일원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빅맨 시대의 자질과 환경은 여전히 소중하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이 책의 결론부인 7장에는 원시의 뇌를 통제하는 10가지 기술이 소개돼 있다.
리더에 대한 영웅주의적 시각을 버릴 것,
가능하다면 한 명의 리더가 책임지는 조직원의 수를 150명 이내로 조정해 원시 사바나적 소통 구조를 만들 것,
내부에서 리더를 발탁할 것 등등,
그 10가지의 기술의 내용은 머릿속에 넣고 생각해보면 좋을 리더십 방법론들이다.
 
특이하게도 리더십을 진화론과 심리학에 관점을 두어 전혀 새롭게 다루어진 이 책은 21세기의 선진리더의
모습과 자격조건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헤보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