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촌 기행
정진영 지음 / 문학수첩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나름 내 삶 자체에 있어서 약간의 깨달음을 주었던 책..

자기계발서도 아닌 소설이 깨달음을 주었다고? , 그렇다면 철학 소설인가?

이 책은 그저 판타지 소설일뿐이다.

2011년 조선일보 판타지문학상에서 '풀잎의 제국' 함께 공동 수상했다.

사실 우리가 알고있는 판타지라 함은 해리포터나 반지의 제왕들을 꼽는다.

그러한 외국의 판타지에 익숙해져서인지 이 소설은 판타지라고 하기엔 조금은 부족하지 않나싶었다.

그래서 그런지 이책을 읽는내내 '이게 판타지라고?' 하면 스스로 계속 질문을 던지며 읽곤했다.

신비소설 정도로 해두면 좋을것 같다.

저자 본인조차도 이 소설을 판타지라고 단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판타지분야에서 수상을 했다고

의아해 하는 인터뷰기사를 본것 같다.

 

나이 39의 범우는 신림동 고시촌에서 고시공부를 하는 늙은고시생이었다.

처음 앞부분은 주인공 범우의 고시생다큐로 시작한다.

그러던중 후배와 술한잔하고 집으로 돌아가던길에 고향이 한마리와 마주친다.

그 고양이를 따라가며 이 소설의 극적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가 고향이를 따라 들어간곳은 '도화촌'이라는 이상한 마을이다.

그곳은 주인공이 처음 가보는 곳이었고 주위를 아무리 둘러봐도 전혀 딴 세계였다.

복숭아 과수원이 즐비했고 따스한 햇살이 비추는 평화로운 마을이었다.

해탈한 듯한 마을 사람들의 일상에서 범우는 이곳이 진정한 무릉도원이라 생각하며 도화촌에서의 정착을 하기로 한다.

 

그토록 오랜세월 헛꿈을 꾸며 살던 그 시절을 벗어나 새로운 정착지인 도화촌에서 유유자적 세월을 보내고있었는데

그 편안함이 감옥처럼 느껴지는 사건이 일어난다.

속세에 있을때 사두었던 복권이 당첨된것이다.

그는 도화촌을 빠져나가려 하지만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게된다.

촌장 노인은 나가는 길이 너무나 많아서 셀 수조차 없다고 하지만 정작 밤새 걸어도 길을 찾을수 없다.

 

이번 ‘2011 조선일보 판타지문학상’을 심사한 문학평론가이자 서울대 영문과 교수 장경렬은

“리얼리즘 소설의 범주이면서 환상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깊이와 의미를 심화시키고 있다.

작품의 완성도와 문장의 세련도가 일정 수준에 올랐을 뿐 아니라,

환상문학의 범주를 넓혀줄만한 작품이다”라고 심사평을 밝혔다.

 

유머러스한 문체나 단단한 구성,

외국의 판타지와는 전혀 다른 느낌의 소설이지만

우리 한국적 요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판타지문학의 시대를 열어갈 소설인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