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팻걸 선언 ㅣ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13
수잔 보트 지음, 김선희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왜 세상은 날씬한 사람들만 원하는가?
왜 세상은 균형잡힌 몸매에 얼굴은 보너스로 예쁘면 금상첨화라고 생각하는가?
뚱뚱한 사람도 숨쉴권리가 있고 쇼핑할권리가 있다...
에 관한 이야기...
세상을 살아오면서 뚱뚱한 사람들은 대접받지 못하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그 옛날 보리죽을 먹고 살던 그 시절에는 튀어나온배는 부의 상징이었고 통통한 아줌마의 얼굴은
이밥과 고기만 먹는 마담뚜로 대변되던 시절이 있었다..
우리의 아주 오랜 옛날 조선시대의 민화들을 살펴봐도 대부분 통통한 아낙네들이 주를 이룬다.
세월이 흐르면서 미의 기준도 변해가는게 맞는 이야기인듯...
여고생 '제이미' 의 주체적 자아찾기 프로젝트...
항상 뚱뚱한 아줌마 옷 말고는 살 옷이 없고 연극부에서 맡는 역이라고는 사악한 마녀역 밖에 없는 제이미...
학교 신문 [와이어]의 칼럼을 맡게 되면서 팻걸선언을 한다
-팻걸의 사전적 의미 : 뚱뚱한 소녀 -
청소년 전문 신경생리학자 수잔 보트가 쓴 소설 [팻걸선언]
오프라 윈프리가 운영하는 '오프라 북클럽'과 미국 청소년도서관협회등의 추천도서로 꼽힌 책이다.
- 아무도 나한테 말 한 마디 건네지 않았다.
옷들은 신상품이었다. 장식 술과 발목장식과 자유분방한 옷, 도발적이다.
물론, 내 취향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요란한 최신식 옷을 만지기만 할 뿐 입을수 없다니 괴롭다.
의상 디자이너들은 팻걸을 위한 대량생산 물건을 만들지 않는다.
10명중 3명은 뚱뚱하다. 하지만 핫칙스 같은 매장은 우리 30퍼센트를 무시한다.
우리가 프레디와 노노만큼 돈을 쓰지 않는다고 생각하나보다. - (35쪽)
비행기를 탈때 좌석 2개를 차지하는 제이미의 팻걸선언으로 인한 논란과 함께 멋진 남자친구와의 옥식각신 사랑도 이쁘게 그렸다
이 소설은 10대들의 고민과 사소한 일상생활에서의 이야기들을 갈등과 이해로 풀어냈으며,
우리 삶에서 가장 본질적인 인권에 대해 이야기한다.
알게모르게 행해지는 소리없는 폭력..외모로부터의 편견...학벌정도로 따지는 차별등
그런 현실에 대한 고발이다
제이미를 통해 바라보는 세상의 편견의 눈을 이야기하는 소설...
이책에서 많은것을 느끼고 많은것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