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숲, 길을 열다 네이버 캐스트 철학의 숲
박일호 외 지음 / 풀빛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책, 철학 입문 책은 수없이 많다. 그런데 또 나왔다. 이 책은 어떤 특이성을 갖고 있길래 출간된 것일까? 이 책의 장점은 무엇일까? 우리가 어떤 점에서 읽을 필요가 있을까?

 

네이버 캐스트 '철학의 숲'에 연재된 것을 묶어낸 책이다. <철학의 숲, 길을 열다>는 <철학의 숲, 길을 묻다>의 후속작이다. 전작은 고대부터 근대 초기의 철학자들이 등장하고, 이번에는 근대 후기부터 현대 철학자들의 이야기가 소개된다.

 

근대 초기와 근대 후기로 나누는 기준은 철학이 모든 학문을 아우르는 역할을 했을 때인지, 개별 학문으로 분화된 시기인지다. 이 점이 매우 중요하다. 책에 등장하는 철학자들이 정해지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근대 후기부터 현대를 다루는 철학책들이 꽤 있다. 이 책은 등장하는 인물들이 여느 책들과는 좀 다르다. 책에 나오는 철학자 이름부터 말해보자.

 

찰스 샌더스 퍼스. 철학 공부 좀 해본 사람이면 들어는 봤을 거다. 기호학의 창시자.

고틀로프 프레게. 들어본 것 같기도 한데 잘은 모르겠다.

라위천 브라우어, 월러드 콰인. 정말 처음 들어본다. 혹시 아는 사람 계세요?

애덤 스미스, 찰스 다윈, 막스 베버, 아인슈타인도 약간의 의문이 들긴 한다. 이들이 철학자인가? 

 

경제학, 사회학, 현대물리학에서 소개되는 인물도 있고, 모르는 사람도 있다. 모르는 사람이 있다는 얘길 하는 이유는 이 책이 쉬운 책, 입문책인데도 유명하지 않은 철학자를 넣었기 때문에, 그 점에 주목하자는 거다.

 

비록 유명하진 않아도, 나름의 문제 의식을 갖고 사유를 전개한 사람이면 여기에 나온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저자들이다. 과학철학, 논리학 등을 전공한 사람을 비롯하여 네 명이 함께 쓰다보니 이전에 보지 못했던 사람들이 등장한다. 다른 책들에선 쉽게 보지 못하는, 이 책의 특이성이다. 

 

<~열다>를 보니 저자들의 서술 방식과 문제 의식이 마음에 든다. <~묻다>도 찾아 읽고 싶은 마음이 든다. 한편 <~열다>를 잇는 후속작이 나오길 기대한다. 바로 동양사상에 대한 책이다. 서양철학과는 다른 맛이 있을텐데, 그 맛도 경험해보고픈 욕심이 생긴다.

 

21명의 사람들이 나오는데 중간중간 사진도 들어 있고 글도 쉽게 잘 써주셨다. 철학을 공부하고 싶긴 하나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