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수의 호르몬과 맛있는 것들의 비밀 - 면역력을 키우려면 가공식품을 버려라
안병수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22년 1월
평점 :
품절


저자를 처음 알게 된 건 2005년이다. 그 유명하고도 유명한 <과자, 내 아이를 해치는 달콤한 유혹>을 통해서다.

그걸 어디서 봤나? 어떻게 알게 됐나? 당시 나는 군인이었다. 군대교회 목사님을 통해 알게 됐다. 매달 1권씩 책을 추천해주셨는데, 주로는 신앙서적이었던 것 같다. 그런데 어느날은 이 책을 소개해주셨다.

잉? 교회에서 이런 책을? 목사님이? 난 참 현명하신 분이라고 생각한다. (존경합니다 목사님!) 영혼만 중요한 게 아니다. 몸도 중요하다. 먹는 것은 정신과도 연결된다. 총체적으로, 통전적으로 바라봐야한다. 먹는 것이 바로 '나'인데, 그 '나'에는 모든 요소가 다 들어간다.


이 책 시작하자마자 머릿말에서 저자가 무척 인상적인 말을 던진다. 팬데믹을 소재로 한다. 지금 우리는 코로나19라는 팬데믹을 맞이했는데, 이는 바이러스성이다.

그런데 비-바이러스성 팬데믹이 있다고 한다. 현대병이라고 할 수 있는 대사증후군, 암, 당뇨 등이다. 1세기 전만해도 희귀병이었다. 21세기의 전염병으로 우울증, 비만이 있다. 생활습관의 문제이기도 한데, 이것은 현대인들이 즐겨먹는 음식과 상관있다.

먹을거리를 팬데믹에 연결시키는 게 인상적이었다. 저자의 포스, 짬바, 아우라를 진하게 느낄 수 있는 멋진 도입부였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먹는 밥이 가장 훌륭한 백신이다!


책에 여러 이야기가 나오지만 그 중 MSG에 대해서 논해보겠다. 얼마전 김상욱 물리학 교수가 하는 말을 들었다. MSG는 별 게 아니라는 말이다. 화학 기호로 보았을 때 아무 문제 없는데, 일부에서 과도하게 문제제기한다는 거다. 아예 부당하다는 말이었다. 평소 호감 갖고 지켜보는 이였기에 주목되었다.

그런데 저자는 아주 반대편에 서 있다. MSG가 엄청 유해하다고 주장한다. 물론 다시마, 멸치, 버섯 등 천연재료에도 MSG가 있는데, 천연과 인공은 존재 형태가 다르다고 한다.

특히 인공 MSG는 인체 내에서 소화될 때 혈액으로 흡수되어 면역력이 약화된다고 한다. 여러 논문도 소개한다.


또한 식품 업계의 지원을 받은 연구가 대부분이기에, 무해하다는 연구 자료가 많다는 이야기도 역시 곁들인다. 저자가 대기업 과자 담당자였다. 그래서 그 메커니즘을 더 잘 알고 있는 듯 하다.

그는 이걸 가습기 살균제 사태와 연결시킨다. 개인이 인과관계를 밝히기는 무척 어렵다는 거다. 유해성이 공식적으로 드러나는 건 쉽지 않다. 뭐 예를 들어 DDT, 석면 등도 그러하다.

현대병을 유발시키는 데에 인공 MSG가 한 몫한다고 한다. 이는 사회 문제로도 연결된다.


그렇다. 먹을거리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다. 누구나 밥을 먹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수많은 기업들이 뛰어든 사업이다. 감칠 맛을 내서 입맛을 사로 잡으면 돈을 벌 수 있다. 

먹을거리를 상품화한 식품 업계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 무얼까? 맛? 돈? 건강? 안전? 앞에 두 개인 것 같고, 뒤에 두 개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 듯 하다.


이 책은 이번에도 우리에게 불편한 진실을 밝혀준다. 첫 책 이후 거의 20년이 되는 동안 저자는 꾸준히 발전한 것 같다. 세상은 점점 더 그가 바라는 것과 반대편으로 뛰어간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근본적인 걸 되묻게 된다. 우리는 무얼 먹고 있는가,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어 가고 있는가.

먹을거리에 대한 책이지만, 참 여러 가지를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많은 이들이 읽고 활발한 토론이 있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