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불평등 어떻게 해결할까? - 굶는 자와 남는 식량, 스마트 농업이 그리는 해법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5
김택원 지음 / 동아엠앤비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다들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밥 안 먹고 살 수 있는 사람 있나? 당연히 없다. 그런 면에서 식량과 관련된 사안은 우리 삶에 밀접하고 중요한 문제다. 하지만 그에 비해 우리는 식량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이 책은 우리에게 잘 모르고 있는 중요한 내용을 차분히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읽어볼 가치가 있다.

최근 들어 인터넷, 전자기기 등을 비롯하여 첨단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그런데 식량 문제는 어떠한가? 이 책 한 권이면 주요 흐름을 꿰뚫을 수 있다. 10대를 초점으로 맞춘 책이지만, 그렇게 한정될 수 없는 알찬 책이다. 식량을 비롯하여 산업 전반에 대해 안목을 갖고픈 사람은 이 책을 꼭 읽어보길 바란다. 

요즘 대선을 앞두고 다양한 정책들이 나오는데, 농촌농업에 대한 이야기는 들을 수 없어 아쉽다. 이게 우리의 불안한 현실이자 미래다. 어찌됐든 식량 안보를 든든하게 해야 한다. 미국이 아주아주 많이 수출하는 게 무언가? 전자제품? 농축산물의 비중이 상당하다. 선진국이라는 나라들일 수록 자국 농업 경제를 중요시 한다. 우리는 이 책을 읽고, 우리 사회의 상식을 한 단계 높여야 한다.  


한편 요즘은 기후위기를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매우 심각한 일인데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그런데 이 책은 한 발 더 들어간 입장에서 색다른 관점을 소개한다. 기후위기가 식량에 미치는 영향은? 보통은 부정적으로 말한다. 하지만 그게 꼭 부정적이지만은 않다는 것, 역사적으로도 그래왔다는 걸 밝혀줘서 흥미로웠다. 상식 차원에서도 이 책은 충분히 읽을만하다.


이 책은 논점을 상당히 균형 있게 다루려고 애쓴다. GMO의 경우, 찬성과 반대 입장을 충분히 다루고 있다. 최근 추세는 안정적으로 바라본다고 하면서도, 그럼에도 '부수적인 피해'가 있을 수 있는 점을 잊지 않는다.

개인적으로는 GMO를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다. 한국 사회는 GMO에 대해 관대한 입장이 많기 때문에, 저자의 의견도 반갑게 느껴지기도 했다. 하나의 사안에 대해 다양한 관점과 그 이유를 설명하는 점이 인상적이었고, 그 외에도 참 탄탄한 논리를 바탕으로 글 쓰는 게 느껴졌다.

스마트팜에 대해서도, 꼭 장미빛 미래로만 보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참 다행이었다. 특히 노령화된 우리나라 농업 현실에서의 거리감도 말해준다. 첨단기술이 농업에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되면 좋지만 얻는 만큼 잃는 것도 있다. 꼭 생산을 많이해야만 좋은 게 아니다. 화학비료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게 있다. 여러 정보들을 읽기 쉽고 이해하기 좋게 차곡차곡 제공해주는 게 이 책의 매력이다.


도서관에서 저자 특강을 할 때가 있는데, 나는 이 분을 추천하고 싶다. 우리가 관심 가져야하지만, 사실 잘 모르고 있는 부분, 책의 부제처럼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 교양'시리즈인데, 정말로 손색 없이 알찬 책이다.


농촌이 주는 전인적 의미 - 땀과 노동, 영성의 회복 등이 더불어 다뤄져야 한다. 취업 여부 못지 않게 이러한 맥락에 관심 갖고, 이 사안을 진지하게 풀어갈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