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교과서 예수 - 사랑, 먼저 행하고 먼저 베풀어라 ㅣ 플라톤아카데미 인생교과서 시리즈 1
차정식.김기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는데 꽤 오래 걸렸다. 책이 두꺼워서도 아니고, 어려워서도 아니었다. 나는 보통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또 밖에서 걸어다니면서 책을 많이 읽는데 표지에 ‘예수’라고 적힌 책을 읽으면서 다니고 싶지 않았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고등학생 때까지 혼자서라도 교회도 다니고, 새벽기도에 수련회도 다녔었는데 그 과정 중에 이런저런 상처와 의심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그 종교인으로 보이는 것조차 나에게는 거부감이 있었나보다. 얼마 전 서울광장에서 진행된 [2015 퀴어 페스티벌]에 놀러가면서 동성애자로 오해받는 건은 별 생각 없었는데, 혹시라도 내가 기독교인으로 보일까봐 신경 쓸 줄은 몰랐다.
나는 기독교를 믿으면서 교회를 다니면서 ‘예수처럼’ 사는 것이 기독교인들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내가 실제로 경험한 기독교의 모습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 너무나도 달랐다. 더 많은 사람들을 이해하고, 사랑하고, 보듬기보다는 교리를 사용해서 다른 사람들보다 우위에 서려하고, 차별하려고 했다. 그리고 교회에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이 사랑이 아니라 헌금이라는 것도 점차 지쳐갔다. 내가 성실하게 교회를 다녔던 것이 위에도 적었듯이 고등학교 때까지인데 주구장창 헌금을 많이 내야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 사이 무려 8분 이상의 목사님을 만났는데 그 이야기를 안 한 경우가 없었다. 게다가 천 원 짜리를 어떻게 내냐는 식으로도 이야기를 하곤 해서 정말 충격적이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성전은 이미 강도의 소굴이라는 구절에서는 내가 느꼈던 교회의 모습을 떠올렸고, 예수의 삶을 되짚으면서 내 안에 남아있는 기독교의, 그리고 예수의 기본 정신을 찾아갈 수 있었다.
예수가 가르치신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은 제도적 종교에 속해있는 사람이 아니다. [마태복음] 25장은 최후의 심판 때의 모습을 보여준다. 영과의 보좌에 앉으신 인자가 모든 민족을 자기 앞에 불러 모아 양과 염소를 가르듯이 사람들을 가른다. 가름의 기준이 특정한 종교에 소속되었는지의 여부가 아닌, 그들이 세상의 약자들을 어떻게 대했는가이다. 주린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고, 목마른 사람에게 마실 것을 주고, 나그네를 영접하고, 헐벗은 사람에게 입을 것을 주고, 병든 사람을 돌보아주고, 감옥에 갇힌 사람을 찾아갔는지 등의 여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예수는 그런 사회적 약자와 자신을 동일시 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그런 의미에서 벗들의 나라이다. 384-385p
원수를 사랑해야 하는 실질적인 목적은 하나님 아버지의 아들이 되기 위한 것이다. 거꾸로 말해서 하나님 아버지의 자녀 정도쯤 된다고 믿는 이들이라면 자신의 친밀한 동족이나 이웃들만 사랑하지 말고 적의를 표하는 원수까지도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226p
마찬가지로 기도 또한 외식이 주요 경계 대상이 된다. 남들에게 자신의 경건을 과시하기 위해 큰 거리 어귀에 서서 기도하는 것은 외식하는 종교 지도자들의 그릇된 관행이었다. 그들의 과시적인 기도 역시 자기의 상을 이미 받은 무익한 것으로 치부됐는데, 예수는 그 대안으로 아무도 모르게 자신의 골방에 들어가 문을 닫고 은밀하게 기도할 것을 제자들에게 당부했다. 아울러 거창한 말들을 많이 늘어놓으면서 중언부언하는 기도의 습관도 그는 나쁜 경건의 사례로 꼽았다. 참된 경건의 실천으로서의 기도는 말을 많이 하는 데 그 요체가 있는 게 아니라, 얼마나 충심으로 하나님을 신뢰하며 진솔하게 소통하느냐에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75p
이처럼 전통이란 미명하에 강박된 ‘사람의 계명’이 ‘하나님의 계명’을 압도하는 왜곡 현상은 진정한 정결과 거리가 멀 뿐 아니라, 아무리 정결이 넘쳐날지라도 실제로는 헛되이 하나님을 경배하는 짓에 불과하다고 본 것이다. 요컨대 예수가 보기에 인간을 더럽히는 것은 밖에서 사람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이 아니라 사람안에서 입을 통해 나오는 것이었다. (막 7:15~16)296p
이웃을 위해 울어주는 일, 죽어가는 자의 손을 하룻밤 잡아주는 일, 나 자신의 슬픔을 참아내는 일, 이것만도 (중략) 다윗의 성전보다 과월절보다도 위에 있다.
오늘의 기독교가 무기력증에 빠진 것은 바로 그런 하나님 현존의 자리를 한사코 외면하기 때문이 아닐까? 마더 테레사는 병든 사람들, 굶주린 사람들, 죽어가는 사람들을 그리스도로 보았고, 그들을 돌보는 거룩한 사역에 불러주신 은혜에 감격하며 살았다. 그런 고통의 자리를 외면한 채 수백, 수천억원을 들여 예배당을 짓는 것을 하나님께서 정말 기뻐하실까.
[교회로부터 예수를 구하라]라는 도발적인 제목의 책을 썼던 로빈 마이어스는 2012년에 출간한 책 [언더그라운드 교회]의 서문에서 오늘의 교회가 얼마나 무기력해졌는지를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교회에 가는 것은 안전하다. 전복적이지 않다. 어쩌면 우리의 품성을 가꾸어줄 수도 있다. 그러나 현상 질서를 위협하지는 않는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백록]에서 자신이 ‘진리를 피하면서 찾고 있었다’고 말했다. 오늘 우리도 다르지 않다. 하나님의 현존 체험을 갈망하면서도, 그 길은 한사코 피하고 있으니 말이다. 395p
이 책을 읽으면서 공자를 바라보듯이 예수를 바라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이런저런 잡다한 종교적인 갈등 없이 받아들일 수 있었다. 교회에 돈을 많이 가져다 바치는 게 중요한 게 아니고, 종교의 테두리 안에 들어가는 것보다도 중요한 게 있었다. 글자에 단순하게 집착할 것이 아니라 그의 삶과 말을 통해서 예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포용력과 인내부터 배워야 했다.
[2015 퀴어 페스티벌]에 갔을 때 기독교에 대한 절망감이 나를 덮쳐왔다. 위에도 적었듯이 교리를 남들을 차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가득 차 있었으니까.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까지 내가 기독교에 대해서 실망했던 부분들은 기독교 또 예수의 교리 자체가 아니라 그를 자기마음대로 휘두르는 사람들 때문이라는 것도 깨달았다. 아주 단순하게 그 축제에 만일 예수님이 있다고 하면 과연 어느 쪽 편을 들어줬을지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원수도, 창녀도, 그리고 이 세상에서 차별 받는 사람들을 포용하는 예수라면 어느 쪽을 보듬어 줄지 내 눈에는 굉장히 분명해보인다.
종교를 떠나서 그의 가치가 천년 이상을 살아남은 인물들의 삶에서, 또 삶의 태도에서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이번 인생교과서 시리즈는 그런 인물들의 이야기를 되짚어보고 나의 머릿속에 영양분을 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시 기독교인이 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성경책도 다시 읽어봐야 겠다. 더 많은 사람을 이해하고 또 포용할 수 있는 내가 되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