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이 달라도 우리는 친구 세용그림동화 3
에런 블레이비 지음, 김현좌 옮김, 발레리아 도캄포 그림 / 세용출판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성격이 다른데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조금 다른 것도 아니라 거의 모든 점이 다른데요. 여기 티없이 맑고 순수한 아이들이 얼마든지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요. 어른들처럼 이 친구는 나와 이런 점이 다르고 저 친구는 나와 저런 점이 달라서 친구가 될 수 없다며 처음부터 사귀어 보지도 않고 판단하지 않아요. 그리고 친구의 있는 그대로를 좋아해요. 성격이 좀 다르면 어때요? 그래서 오히려 둘도 없는 친구가 될 수 있었는걸요.

표지 그림에서 어깨 동무를 하고 활짝 웃고 있는 두 아이의 이름은 펄 발리와 찰리 파슬리예요. 두 아이의 웃는 모습을 보고 있으니 저절로 입가에 미소가 번졌어요. 우리 아이도 두 아이를 보면서 활짝 웃었어요. 두 아이의 모습에서 아주 친한 친구일거라는 느낌이 들죠? 그리고 친한 친구이니 성격도 당연히 비슷할거라는 생각을 했을테구요. 하지만 전혀 아니예요.두 친구는 거의 모든 점이 달라요. 펄 발리는 활동적이고 쾌할하고 개구장이인 반면에 찰리 파슬리는 조용하고 수줍음을 많이 타는 아이예요. 펄 발리를 보고 있으면 말괄량이 삐삐가 생각나요. 이렇게 성격이 전혀 다른 펄 발리와 찰리 파슬리가 어떻게 둘도 없는 친구가 되었을까요? 그건 바로 두 친구의 다른 성격 때문이예요. 펄 발리는 밝고 활동적이지만 좀 덤벙대요. 그래서 추운 겨울날 장갑을 잊은 채 밖에 나갔다가 온몸이 얼게 되는데 그때 찰리 파슬리가 펄의 손을 꼭 잡고 따뜻하게 감싸줘요. 또 찰리 파슬리는 감성이 여려서 무서움을 많이 타는데 그럴때면펄 발리가 용기를 주어요. 펄은 찰리의 영웅이거든요.



두 아이를 보고 있으면 아이들의 순수함이 그대로 느껴져요. 아이들에게 있어 성격이 다름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아요. 나와 똑같기를 바라지 않고 친구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니 나에게 부족한 점은 친구가 채워주고 또, 친구의 부족한 점은 내가 채워줄 수 있는 것 같아요.

펄 발리를 보고 있으면 꼭 우리 아이 같아요. 우리 아이도 펄 발리처럼 양갈래로 머리를 묶고 다니고 펄 발리만큼이나 활동적이고 개구쟁이거든요. 아이가 3월부터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데 요즘 집에 오면 친구들 얘기에 시간가는 줄 몰라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아이에게 ’친구’란 존재가 크게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걸 느껴요.

펄 발리를 보고 있으면 꼭 우리 아이 같아요. 우리 아이도 펄 발리처럼 양갈래로 머리를 묶고 다니고 펄 발리만큼이나 활동적이고 개구쟁이거든요. 아이가 3월부터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데 요즘 집에 오면 친구들 얘기에 시간가는 줄 몰라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아이에게 '친구'란 존재가 크게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걸 느꼈어요. 아이가 친구와의 관계에서 펄 발리와 찰리 파슬리처럼 서로의 부족함은 채워주고 나와 다름을 인정하면 서로에게 둘도 없는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책을 보면서 느꼈으면 하는 바램을 했어요. 우정에 대해 유쾌하게 다룬 이 책은 '친구'에 대해 알아가는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좋을 책이에요.

<책 사진 이미지의 저작권은 세용출판에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