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에서 가장 느린 책
작년 아이와 같이 봤던 주토피아에서 느린 캐릭터로 나온 나무늘보의 능청스러운 눈 껌벅임과 얼굴 표정이 생각나는
책의 겉표지네요. 느림의 대표주자들이 책의 표지에 다 등장해서 궁금증을 자아내는 세상에서 가장 느린 책
너무너무 빨리빨리로 유명한 한국에서 살아가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무슨 생각을 할 틈을 주지 않고 무조건 빨리빨리 밀어붙이죠
느림이 나쁜 것이 아닌데 현대에서는 느림이 인정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그 편견을 깨어주는 과학도서에요

느리게 변화하는 것 중 하나인 곤충
나방이 애벌레 시절의 기억을 하는지가 궁금해 실험을 해보니 기억을 한다고 하네요
애벌레의 변태과정에 관한 이야기와 고치속의 애벌레가 몸이 수프 같은 걸쭉한 형태로 되어 있다는 것도
흥미롭네요 애벌레 시절에 싫어했던 초산에틸올 냄새를 나방이 되어서 훈련받았던 애벌레는 피한다고 해요
다른 대조군 나방들은 피하지 않는 초산에틸올 냄새를 말이죠
너무 신기한 나방의 기억에 관한 이야기
번데기 부스에 들어갔다 나오는 나방의 모습이 재미있게 그려져있어요
느리게 변하는 것들을 자연. 동물. 식물. 몸. 지질학. 세상에 대한 느린 생각 등으로 분류해서 이야기하고 있어요
느리게 변하는 또 한가지
부식되는 과정이 지켜보기에 오래 걸리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유리병은 부식이 되는 적이 있는지에 대해 알려져 있지 않다고 합니다.
환경에 관한 이야기
페이지 페이지 사이에 글씨로만 남겨져있는 명언들도 와 닿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충분히 시간을 갖고
천천히 살펴보면
우리의 세상은 아름답고
신비한 것들로
가득 차 있어요."

느린 달팽이에 관한 생각들에 대한 이야기
달팽이들이 이사를 갈 수 있는지???(옷이나 물건들에 붙어서 멀리 이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해요)
아가사라는 이름의 달팽이가 보낸 세상에서 가장 느린 이메일에 관한 이야기는 정말
신기하더라고요
느림의 의미를 되새기자는 취지를 가지고 만든 서비스라고 하네요
정말 달팽이가 보내준 이메일을 받으면 기분이 어떨까요??
그리고 느린 복족류(지렁이. 개오지. 쇠고동. 삿갓조개류 등과 같은 연체 동물군의 학명이다. 대부분의 복족류는
하나의 커다란 근육 같은 발을 이용해서 이동한다 ----책의 맨 뒷편에 따로 낱말에 대한 설명이 있어요!!!)
로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고 해요 인간의 유전자 즉, 신체가 자라게 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화학적 체계의 일부가 비슷하다고 해요
갯민숭달팽이의 활약을 기대해 볼 수 있겠어요 -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의 치료법을 알아낼 수 있을지도 모른답니다.

오랜 시간이 만들어낸 위대한 미국의 그랜드 캐니언의 풍경과 (600만 년이 걸렸다고 해요) 기나긴 세월의 흔적인
조각상의 녹청에 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어요
상징적인 지형지물이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지만
청동으로 만든 자유의 여신상은 긴 세월이 지나면서 대기 중의 산소가 동상의 청동과 만나면서
녹청이 슬어 청록색으로 변한 것이에요
어떤 조각품은 일부러 산화를 시켜 오래되어 보이도록 녹청을 입히기도 한다고 합니다.
세상이 빨리빨리 만 돌아간다면 재미없을 수도 있어요
발효시켜 만드는 슬로푸드에 관한 이야기도 있어요
햄버거는 40초 가까이 걸리는 반면
독일의 사우어 크라우트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3-4주라고 하네요
더 느린 우주공간에 대한 이야기도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답니다. 우주는 점점 더 확장되어 가고 계속
확장되어간다는 사실.
여러분들도 광활한 우주처럼 생각의 폭을
점점 넓혀 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