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면 굉장히 잠재 능력이 발휘되고
부정적인 마음을 가지면 잠재 능력이 발휘될 날이 영원히 오지 않는다
약한 사람이 불평불만이 꼬리처럼 따라다닌다고 한다
아침에 아이가 학교에 가는데
코로나로 다들 등교하지 않는데 자기네 학교만 등교한다고
계속 투덜거리면서 가길래
이 부분을 읽었던 것이 생각나서
어차피 학교에 갈 거 기분 좋게 가는 게 어떻겠니?
학교 선생님들도 나오시고 싶으신 것보다 불안함이
더 크실 텐데 나라에서 정한 커리큘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업을 하시는 걸 테니 이번 주만 마무리하면
온라인 클래스로 또 바뀔 거고 그다음 방학을 하지 않겠냐고
했더니 아이가 조용히 생각해보는 것 같았다
매사에 부정적이고 불평불만인 사람은 약자이고
불평불만을 다스리면 자연스레 강자의 근성이 드러나게 마련이라고
안데르센의 동화 할아버지가 하는 일은 언제나 옳아요
에서 예를 들며
불평하지 않고 화를 내지 않는 태도를 배워야 한다
하버드 사람들은 행동으로써 자신의 강인함을 증명한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4선에 성공한 유일한 대통령이며 39살에
소아마비에 걸려 좌절했지만 자신의 처지를 불평하지 않고
오히려 낙관적으로 열심히 살며 성격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켜서
어려운 약자들의 편에 서서 하층민 사람의 고통을 이해하는 인도주의로
변화해서 미국의 대공황을 극복하고 2차 세계대전에도 승리했다고
한다
이렇게 한가지 주제를 이야기하고 그 후에 하버드 근성 배우기라는
코너에서 해결 방법을 제안한다
스텝 1 현재 상황을 정확히 인식한 다음 대화를 나눈다
스텝 2 좋지 않은 감정을 발산시킬 다른 출구를 찾는다
스텝 3직면한 문제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화제를 확대하지 않는다
무의식적으로 대화를 할때 불평불만을 확대함으로써
타인의 동정과 동의를 구하려는 사람이 있다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개선점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
결단의 비밀에서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지 마라"
"힘든 일은 절대 입 밖에 내지 마라" 등등
하버드 수업에서 절대 다른 사람에게서 동정이나 위안을
얻으려 하지 말고 타인에게 힘든 일을 하소연하지도 말라고 한다
다른 이에게 감정 쓰레기를 왜 주며
힘들 일을 이겨내지 못하는 사람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하지 말라고 한다
"감정의 쓰레기를 만들지 마라"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반응을 요구하며 동정과 이해를 얻기를
바라고 때로는 적극적인 도움을 기대하기도 한다
고통을 털어놓는 것은 상대에게 감정의 쓰레기를 다 쏟아놓은 것
받아주는 입장에서는 불공평한 일이라고 한다
모임에 나가서 가벼운 대화는 좋지만
집에 초대되어 가서 대화하는데 무조건적으로 자신의
힘든 일 그리고 불평불만 만 쏟아놓는 상대와 계속 만나야 하는
상황이 있었다 듣고 오면 집에 와서 너무 힘들고 피곤한데
아이의 친구여서 친하게 지내다 보니 결국엔 또 듣고 있는 걸
느꼈다 결국 내가 감정의 쓰레기를 계속 받아주고 있었던 것이다
감정의 쓰레기를 만들지 않도록 하버드 근성 배우기 코너에서
해결점을 또 알려주고 있다
고민을 적어본다거나 내면의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방법을 찾아보라는
이야기
어떻게 해야 스트레스가 풀리는지 아는 사람과 모르고 계속
쌓아놓는 사람과는 차이가 클 것이다
중간에 삶의 철학이 되는 한줄 인문학 코너도 유용했다
다른 사람의 실수를 지나치게 따지지 마라
오만과 편견을 버려라
잔꾀를 부리지 마라
부도덕한 수단을 멈춰라 등등 여러 가지 대담한 행동이나 배움의 열정에
관한 내용 등도 잘 새겨놓고 아이에게 도움이 되도록
중간중간에 조언을 해주려고 한다
하버드의 영향력은 어디에서 나오는지 하버드엔 왜 밤이 없는지
여러 가지 원칙들을 읽고
자신만의 원리원칙을 정해서
어떻게 성공할지 머릿속에 그림을 그려보는 것을
미래에 어떤 대학을 가고 어떤 직장을 다니는 것에만
치중하지 말고 기본을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