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몸에 밴 어린시절
W. 휴 미실다인 지음, 이석규 외 옮김 / 일므디 / 2020년 6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730/pimg_7709461492624646.jpg)
고민과 불행의 원인이 되는 내재과거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법
15년간 심리학 분야 스테디셀러
어린 시절을 불행하게 자라온 편은 아니다
부유한 집안에서 갖고 싶은 건 웬만큼 갖고
친구들이 부러워하는 피아노도 있었고
딸만 셋이라 싸울 일도 그리 크지 않았다
하지만 어린 시절 나는 장녀였고... 예쁜 여동생 둘은 쌍둥이냐고
다들 물어볼 정도로 이쁨을 받았다
막내는 동네에서 알아주는 미모였고
둘째는 맨날 아파서 엄마의 관심을 독차지했다
난 건강하고 말썽도 안 부리고 조용하고 순한 아이였다고 한다
엄마에게 원하는 것도 해달라고 하는 것도
표현하지 않는 편이였다
하지만 내가 엄마가 되어 아이를 키우다 보니
너무 힘이 들어서 육아상담해주시는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상담 센터에서 선생님과 몇 회 상담을 했다
이야기하다 보니 내가 완벽주의 엄마였던 것이다
아이에게 완벽을 바라는 것은 아니고
내가 완벽한 엄마가 되려고 너무 노력하고 애쓴다고
그만 내려놓으라고
그러면 편해질 것이라고
어릴 때 어떤 것이 나를 완벽한 엄마가 되고 싶게 만든 건지
이 책을 읽어보면서 알아보고 싶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730/pimg_7709461492624649.jpg)
엄청 두꺼운 책이지만 한 단원 한 단원 한 문장 다 중요한
이야기들이라 줄일 수 없었을 것 같다
중요한 이념들에 그에 맞는 예를 들어서 설명해주고 있어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케이스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730/pimg_7709461492624650.jpg)
유약함과. 건강염려증에 대해서 나오는 페이지이다
유명인 중에 건강염려증이었던 분은 진화론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이라고 한다
건강염려증은 친정엄마께서 엄청 심한 편이다
어린 시절 되돌아 생각해보면
크게 아픈 병에 걸리시지도 않으셨는데
항상 누워서 우리에게 머리와 팔 다리를 주무르라고 하셨었다
이유는 잘 모르겠다
항상 아프셨고 누워계셨다
그러다가 아빠가 오시면 벌떡 일어나셔서
꾀병이 아니신가? 생각이 들 정도로
지금 생각해보면 건강염려증이 아니셨을지
생각이 된다
정신적인 의식 면에서 어른과 어린이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어린이에게는 갖가지 방법을 빌어서 지시하고 이끌어가고 안심 시키고
평가하고 가지를 따지는 등 내면에 의식을 심어주는 부모가 있는 반면
어른은 스스로 자신에게 지시하고 자신을 이끌어가고 안심시키거나
자책하는 등 자신에 대한 부모 노릇을 한다는 이야기
어른이 되고 나면 자신에게 부모 노릇을 한다는 개념이
독특하게 와닿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730/pimg_7709461492624651.jpg)
어린 시절에 성적 욕구가 나쁜 것이라고 교육받은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커서 환상적인 성적 활동을 추구한다고 한다
일반 가정의 부부로서의 성 역할에 만족 못 하고 만족시키지도
못하고 힘들어하는 경우가 있다
넷플릭스에 제인 더 버진을 요새 정주행 중인데
제인이 어릴 때 외할머니께서
흰 꽃을 주시면서 그걸 구겨보라고
그러고 나서 다시 펴보라고
한번 순결을 잃으면 꽃처럼 된다고 하시면서
그 흰 꽃을 벽에 액자로 걸어놓으시고는
결혼 전 순결을 강조하셔서
결국 제인은 그 트라우마로 힘들어하는 것을
봤다
아이에게 미리 불안과 공포를 심어줄 필요는 없는것 같다
아이가 크고서도 한침대에서 딸과 아빠
아들과 엄마가 자는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해요
책을 읽어보시면 알게 되시겠지만요
어린이는 청소년으로 성장하면서 점점 자기 자신에게
부모 노릇을 하고 부모가 했던 행동들이 자신을 고통스럽고
가혹한 행위였어도
자신이 그 태도를 잘못된 태도로 자신을 다루게 된다는
안타까운 상황을 그대로 답습하지 말고
자신이
자신에게 부모 노릇을 할때 부모가 취했던 것보다
더 좋은 방향으로 바람직한 태도로
자신에게 부모 노릇을 할 수 있다는!!!!!
자신이 어떤 부류의 어린아이였는지
느끼는 대로 매일 노트에 적어보도록 권한다
부모의 태도나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
기억나는 것이 무엇이든 좋다
문제를 일으키는 병적인 태도엔
완벽주의, 강압, 유약, 방임
건강염려증. 응징, 방치, 거부. 성적 자극
등이 있다
각각의 문제를 일으키는 태도에 대한 기원과
실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의 지나친 태도들 9가지에 대해
아주 상세히 여러 장에 걸쳐 설명하고
어떻게 하면 좋은 방향으로 바뀔지
또는 무엇이 완벽주의자를 몰아세우는지 등등
기원이나 유전에 대해 이야기한다
상담받은 내담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더 자세히 심도 있게 들어간다
당신 자신과 당신의 인생을 바꾸는 힘
자신에게 새로운 부모 역할하기 제안하며
끝맺음을 하고 있다
바꿀 수 없는 것은 없다
자신의 의지로 노력해서 바꿔 나가도록
돕는 도서
부모의 태도 그 태도에 대한 나의 반응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차분히 읽고 실생활에 내재과거아에
어떻게 활용해 나갈지 책을 읽고 잘 생각해 봐야겠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