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당신은 나에게 무엇입니까
제운 지음 / 지혜의나무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내자신에게 물어본다. 당신은 나에게 누구입니까? 작가는 대답한다. 사랑입니다. 그리움입니다.공허함입니다.삶에 대해 인생에 대해 사람에 대해 누구나 살아가면서 겪는 인생의 문데 그리움 외로움 그리고 신에 대한 갈망 그렇다 작가제운스님은 나름대로 인생의 선배로 그것들을 우리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시집을 읽으면서 나는 달밝은밤 고요한 산사에 있었고 외로운 겨울밤 누구를 그리외하는 여인이 되어있었다. 섬세하면서도 스님같지 않은 절절한 감정이 묻어나오는 필력 그리고 가끔은 선이 강하기도 하여 읽는 사람에게 강한 깨달음을 주기도 하였다. 겉모습과 다른 작가의 감성이 그대로 느껴져서 정말로 좋았다. 신춘문예 당선작과 겨루어도 손색이 없을 만큼 강한 감수성을 읽는 사람에게 전달하였다.'

그러다가도 구도자의 자세에서 인생에 대해 논하기도하고 인생은 공허하다는 것을 또 영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화두를 꺼내며 읽는 사람에게 심오하게 고민하게도 하였다. 사랑에 대해 인생에 대해 그리고 삶의 허무함에 대해 어떤때는 사랑의 아픔을 경험한 남자이기도 하였고 인생을 고민하는 승려의 입장에서 시는 그렇게 나의 마음을 두드렸다.

작가에게 물어보고 싶다. 진리를 찾았냐고? 아직도 고민하고 있냐고, 평생고민해야할 문제겠지만 그안에 사랑이 필요하다는 것은 작가나 독자인 나나 다공감하는 부분일 것이다.자기전 금방 책을 다 읽을 정도로 나를 별천지 세상으로 이끌었다. 작가와 고요하게 같이 명상하는 기분이었고 이꿈을 깨고 싶지 않았다.

나는 내나름대로 답을 찾은것 같다. 당신은 나에게 사랑입니다.소중합니다.그래서 그립습니다.하지만 우리는 따로 떨어져 있어도 같은 생각을한다면 같이 있는 것입니다. 당신이 내생각을 한다면 내영이 당신안에 들어와 함께 먹고 함께 할것입니다.그래서 우리의 관계는 육체게 끝나도 영원한 거겠지요?

이것이 인간에 대한 그리움 뿐만 아니라 아마도 신에대한 그리움인지 모르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경이와또 신비함 그리고 신과함께 하고자하는 구도자의자세 진리에 대한 갈망
오늘도 나는 진리를 찾고 또 진리를 행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당신은 진리를 찾았습니까? 찾고자 노력하면 갈구하면 금방 찾게될것입니다. 진리는 의외로 우리가까운데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도 일기 - 최동단 울릉 독도 경비대장의 나라사랑 이야기
류단희 지음 / 지혜의나무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도일기는 한국을 사랑하는 그리고 애국심이 투철한 류단희 경비대장이 쓴 독도에 직접 근무하면서 쓴일기다. 작가는 이책을 아주 담담하게 그리고 일상생활있었던 일그대로를 적어나간다. 처음에는 뭐지?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필력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정말 우리 아버지 그리고 삼촌이(우리가까운 사람이)독도를 경비하면서 그날 그날 적어내려간 일기를 엮은 구수하고도 진솔한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처음에 독도경비 대장을 지원하게 된 일부터 시작해 가족들의 반대에 부딛치고 그리고 선조의 애국심과 진충보국의 뜻의살려 나라사랑하는 마음으로 경비대장이 된일부터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남들랐던 경비대장의 나라사랑하는 마음이 느껴져 정말 존경심이 일어났다. 아직도 이런사람이 있구나 정말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충만하구나 나는 나밖에 모르고 이나라에서 살기 힘들다고 불평 불만 했는데 독도를 지키는 것이 대한민국을 지키는 것임을 그리고 누군가 알아주지 않아도 묵묵히 이분들이 우리를 지켜주시고 계셨구나하는 마음이 들어 정말 감사했다.

항상 독도를 사랑하고 후원해주시는 분들도 많아 대장님도 그리고 경비대원들도 사기도 높고 즐거운 때도 있었지만 망망대해에서 외로움과 싸우고 동료들이 순직하는 사고도 있어 힘드신일이 많았을텐데도 꿋꿋하고 강건한 모습에 마음이 든든했다.

필자도 독도에 대한관심과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깨우치고자 이책을 썼으리라.
독도는 더이상 작고 외로운 섬이 아니다.독도는 동해의 끝에 있는 독립문이다.
이글귀를 읽고 눈물이 왈캌 쏟아져 나왔다. 독도를 지키지 못함은 우리나라를 잃는 것임을 호시탐탐 망언과 망발을 내뱉고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과 싸움에서 반드시 승리해야겠다는 생각과 나또한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내가 또 내자손이 살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 독도는 우리국토의 자존심이자 심장 그리고 끝이아닌 시작 반드시 지켜내야할 나의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일부분 잊혀졌던 나의 애국심을 다시 일깨우고 같이 가보자고 말하는 것 같았다.

독도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그래야 우리가 살수 있다고 독도가 소리치는 것 같았다.
구수한 된장찌개와 같이 친근하고 담담한 필체 그리고 우리살아가는 이야기가 그래도 담겨있는 독도일기 잃어버렸던 애국심을 회복하고 우리의 미래를 위해 꼭 읽어봐야할 책인것 같다.
다시한먼 우리는 대한민국을 외치며 정신을 차리고 우리를 우리나라를 사랑해야 될때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만든 왕따, 소아비만 - 비만 쇼크, 박민수 원장과 함께하는 소아비만 탈출 프로젝트
박민수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소아비만에 관한 전반적이고 총제적인 지식을 알려주고 거기에 치료법까지 알려주는 정말 좋은 책이었습니다.
보통사람들은 소아비만 하면  그저 키크면서 살이 빠진다고 생각하고 자기아이들은 '그저 통통하다' 라고 생각하며 '살빼면 돼지'라고 가볍게 생각하는 데 이책을 읽고나서 '소아비만' 이 정말 심각한 문제구나 나라도 망칠수 있고 한인생을 망칠수 있다는데 실감할수 있었습니다.
작가는 '인생을 암흑속에 살게한다'라고 까지 표현을 합니다.
저도 학생들과 같이 하는 직업이라 고도비만인아이들도 보고 과체중인 아이들을 보는데 그런아이들이 자존감도 낮고 산만하고 머리도 좋지 않다는것에 왜그럴까?라고 생각했는데 이책을 통해 그해답을 알게 되었네요....
결국은 소아비만의 일차적인 문제도 부모에게 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영아기의 식습관 뿐만아니라 임신해서 모체가 먹은 음식에 따라 소아비만이 될수도 있다고 하니 정말 무섭네요~~
이책을 읽지 않고 저도 그냥 부모가 되었으면 소아비만이 되는 아이를 키울수 도 있겠네요.~~
아이가 있던 없던 예비맘들도 꼬봐야 할 필독서 인것 같습니다.
저 또한 2세를 위해서는 인스탄트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실천하려고 합니다.
김종국이 커피와 인스턴드 절대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데 참유별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그게이책을 읽으니 정말 먹으면 안돼구나하는 생각이 드네요.
현대화 되고 서구화 되는 식생활이 정말 우리 몸과 마음을 멍들게 한다는데서 안타까움을 느끼게 되었구요.
작가는 자녀들에게 무조건 먹지말라 살빼라고 이야기 할게 아니라 생활패턴부터 바꾸어야 되고 엄마랑 같이 가족과 같이 소아비만을 치료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습니다. 그말에 백프로 공감합니다.
저도 맵고짠것을 좋아하고 정크푸드(인스탄트)음식을 좋아하는데요. 정말 줄여야 겠다고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것들이 한사람의 인생을 망칠수 있고 또 마약아닌 마약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소아비만이 살찐것이 아닌 무서운 질병이란것을 알게되었구요. 또 당뇨병처럼 소아 성인병도 유발한다고 하니 그심각성은 대단하네요!!!
그질병을 치료하기위해서는 엄마의 역할이 가장중요하다는것 그리고 생활자체를 엄격하게 통제해야 되고 엄마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할것같아요.
공부네 찌들려 스트레스로 폭식을 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입시위주의 교육정책이 사람을 죽이는 구나 생각했어요. 이곳저곳 뛰어다니고 여러가지 경험해볼 나이에 닭장에 갇힌 닭처럼 앉은뱅이로 생활하는 우리불쌍한 아이들에게 화이팅 하라고 말하고 싶구여 어른의 한사람으로 미안하다고 사과하고 싶네요.
부모가 될사람이면 꼭 한번 읽어봐야할 필독서 입니다.
저도 정규교육을 받았지만 너무 무식했구나 생각을 하고 반성을 합니다.
소아비만 정말 '최악의 질병' 입니다.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