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복탄력성의 뇌과학 - 하버드대 의사가 알려주는 5가지 회복탄력성 리셋 버튼 ㅣ 쓸모 많은 뇌과학 10
아디티 네루카 지음, 박미경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5월
평점 :
#도서협찬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게시물입니다>
@hdjsbooks
하버드대 의사가 알려주는
5가지 회복탄력성 리셋 버튼
🌝회복탄력성의 뇌과학
🌝아디티 네루카 지음
✔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번아웃, 정신 건강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춘 의사이자 공중보건 전문가, 미디어 및 헬스 커뮤니케이터
✔ CNN에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뇌의 재구성'을 주제로 디지털 시리즈를 제작
✔ NBC, MSNBC, CBS뉴스에서 정신 건강 및 공중 보건에 관한 의학 해설을 담당
✔ '미국에서 알아야 할 100인 여성'에 선정
✔ <<포브스>>30세 이하 리더 30인 서밋, 하버드대학교 비즈니스스쿨, Dell, IBM, VISA 등 포춘 50대 기업에서 기조연설가 및 강연가로도 뢀동
⭐아마존 정신건강 분야 TOP 1위
⭐15개 언어 번역, 35개국 출간, 글로벌 베스트셀러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 권준수 서울대 교수 강력 추천
🌝 한 줄서평
✔ 나의 스트레스 지수를 살펴보는 시간이 되었고 5가지 회복탄력성 리셋 버튼으로 회복 탄력성 근육을 잘 단련해 보려고 합니다.
🔸리셋 버튼1) 가장 중요한 것을 파악하라
🔸리셋 버튼2) 시끄러운 세상에서 평정을 찾아라
🔸리셋 버튼3) 뇌와 몸을 동기화하라
🔸리셋 버튼4) 뇌를 쉬게 하라
🔸리셋 버튼5) 최고의 자아를 내세워라
🌝 본문
p10
하버드대학교의 스트레스와 횝고탄력성 전문가인 아디티 네루카 박사가 만성 스트레스와 번아숫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5가지 회복탄력성 리셋 방식은 현재 미국 전역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을 명확히 파악하라', '시끄러운 세상에서 평정을 찾아라', '뇌와 몸을 동기화하라', '뇌를 쉬게 하라', '최고의 자아를 전면에 니세워라'라는 5가지 리셋 버튼을 개발하고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다.
p126
마음이 치유되는 것과 병이 치료되는 것 간에는 차이가 있다. 당신이 만약 치료될 수 없는 질병을 앓고 있더라도 여전히 치유될 수 있다. 치유는 긍정적 결과를 향해 나아가면서 부정적 패턴과 감정을 배출한다. 또한 신체적 진단을 뛰어넘어 정신적으로 정서적으로 치료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암 진단이 어떻게 진행되든, 나는 그녀의 치유 과정을 돕고자 애썼다.
p131
당신이 지금 당장은 변할 수 없다고 느낀다거나 스트레스를 줄이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뇌와 몸을 재구성할 수 있을지 의심스러워하는 점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어쨌든 과정의 본질적 원리를 믿어보라. 회의감은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건전하고 정상적인 반응이다. 나는 회의적인 환자를 좋아한다. 변화가 예상대로 일어날 때 흔히 그들이 가장 열정적이기 때문이다.과학적으로 표현하면, 그들은 자기 효능감, 즉 스스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믿음을 키웠다.
p169
"수면의 기본 목적은 뇌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일이다. 본질적으로, 수면은 밤에 찾아가 뇌가 남긴 노폐물[잔여 단백질과 대사 부산물]을 제거하는 쓰레게 수거기와 같다. 수거하고 나면 다음 날 뇌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p172
잠이 부족한 날에는 회복에 집중하라. 정신적 여유가 더 많은 오전 시간에 가장 중요한 일을 처리하도록 하라. 뇌가 잠시라도 숨을 돌릴수 있도록 미디어 소비에 경계를 설정하라.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라. 굳이 낮잠을 자야 한다면, 짧게 자고 오후 늦게까지 자지 않도록 하라. 계속 버티기 위해 카페인이 필요하더라도 오후 3시 이후에는 섭취하지 마라. 낮잠을 오래 자고 오후 늦게 카페인 음료를 마시면 밤에 푹 잠들기 어렵다.
p237
습관 형성에는 세 가지 단계가 있다. 첫 번째는 습관을 시작하는 '착수'단계고, 두 번째는 그 습관을 반복하는 '학습' 단계며, 세 번째는 습관이 자동화되는 '안정' 단계다. 전체 과정은 보통 두 달 정도 걸린다. 도중에 며칠 빼먹는 등 자잘한 문제를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뇌가 학습하는 과정의 일환이다.
p296
당신의 뇌가 그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최적의 상태로 작동하려면 뇌는 휴식과 회복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숨 돌릴 여유가 필요하다.
#회복탄력성의뇌과학 #아디티네루카 #회복탄력성 #뇌과학 #뇌 #하버드대 #의사 #리셋버튼 #현대지성 #서평 #리뷰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독서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