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
이난영 지음 / 소동 / 2023년 3월
평점 :
지난 2월, 페이스북의 창성동실험실에 투명하고 맑은 초록 그림이 보여 일정표를 기록하고는 마지막날에 간신히 방문했습니다.
한옥 안으로 빼곡하게 걸려 있는 그림들과 책상위에 있는 파일북에도 그림들.. 글이 짧았던 것 같은데 군더더기가 없어 좋았습니다.
<이난영 그림에세이 「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 원화 전시회>
일시 : 2023년 2월 21일(화)~2월 27일(월)
장소 : 창성동 실험실 (서울 종로구 창성동 144)
전시는 이난영 작가의 그림에세이 출간을 기념하여 개최하는 원화 전시였습니다. 책에 수록된 그림 약 180여점과 사회문제를 담은 그림들–강정마을, 제주 제2공항, 노량진 수산시장, 이태원 참사 관련 그림 등을 함께 전시했습니다. 겨울의 끝자락임에도 한옥안으로 들어오던 따뜻한 햇살로 반짝이던 그림들이 생각납니다. 봄맞이로 여러 생각을 할 수 있던 전시로 기억됩니다.

작가의 글은 때론 냉소적이고, 그림은 한없이 따뜻하다.
비바람이 세차게 불던 날이었습니다.
어디선가 황급히 새들이 날아와 나무의 어두움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아, 나무가 새들을 감쪽같이 보호해주고 있구나
저 어둠이 새들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있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비바람을 피해 나무의 어두움 속에서 새들이 쉬어가고
나무의 어두움 속에서 벌레들이 살아가고
사람들도 그 어두움 속에서 쉼을 얻는구나
그러면 우리도 더 어두워져도 괜찮겠구나 생각했습니다.
그러면 우리의 어두움속에서 또 다른 생명이 쉼을 얻겠구나 생각했습니다. _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
책의 제목을 뽑은 '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부분을 읽으며 어두움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밝음과 어두움은 공존하는데 이렇게 표현할 수 있구나 싶었습니다.
불안과 공포로 대변되는 어두움이 안식과 변화를 내포하는구나 싶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에세이를 읽고 있는데...'내가 처음 뿌리내린 날'부분에서
"그때의 일을 다시 돌이켜보니 그 어두움이 나를 뿌리내리게 했다. 나는 나무가 되었다"라를 구절을 보았습니다.
머리로만 맴돌던 내용이 마음으로 이해가 되었습니다. 어두움이 안식과 위로를 줄 수 있다는 지점에 대해 공감되었습니다.
나의 어두움은 무엇일까?
작가는 식물과 나무를 통해 사람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책에서 잘려 나왔습니다. 원화에서 3등분으로 나누어져서 왜 그럴까 했는데, 책을 보니 그림도 3장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사람이 나무를 품고 있다는 설정이 좋았습니다. 지하철 안에서 무기력하게 앉아 있는 사람들속으로 솟아오른 나무를 보면서 신선한 발상이 너무 좋았습니다. 노랑, 연두, 초록, 풀빛, 청녹, 녹황, 은회...다양한 색감을 통해 나무와 식물을 표현한 것을 보면서 따듯합니다.
따듯한 정이 느껴지는 글.
푸르디 푸른 청명함이 느껴지는 그림.
글을 쓰고 싶을 때, 그림을 그리고 싶을 때 틈틈히 펼쳐봐야겠습니다.
#나무의어두움에대하여 #이난영 #소동출판사
#나무의위로 #식물의위로 #에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