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의 세계사 - 1000개의 조각 1000가지 공감
차홍규 엮음, 김성진 아트디렉터, 이경아 감수 / 아이템하우스 / 2022년 12월
평점 :
품절


역사와 미술에 관련된 책을 보면 우선 도판이 잘 나와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아무리 글을 잘 써서 머리속에 그려지더라도 한번에 확 들어오는 도판이 없으면 다른 실체의 것을 연상하기 나름이기 때문입니다. 조각에 대해 잘 모르기에 제목을 보고 안의 도판들을 확인하고 읽었습니다. 

칼라도판의 400페이지 넘는 두께를 보면서 어지간한 조각품들에 대한 설명은 다 담았겠구나 싶었습니다. 

이 책은 서양미술이 존재하는 천 가지 이유를 시대와 상황에 맞게 저마다의 가치로 웅변한다. 그래서 한권으로 읽는 세계사이기도 하면서 천권짜리 예술철학사로 읽혀도 손색이 없다.

평면 미술에 대해서만 알려고 했지 입체미술에 대한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조각 전시회를 다녀본 기억이 없는 것을 보니 취향이 평면이긴 합니다. 그래서 잘 알고 싶어 책을 펼쳤는데..^^ 원시시대의 비너스 조각상을 보니 이건 세계사교육시간에 배운 내용인데 싶어 웃음이 나왔습니다. 아, 이게 조각이로구나. 문화재라는 역사적 결과로서의 존재로서만 생각했는데 이게 예술품에 속하는구나 싶었습니다. 그 다음 눈에 띈 것은 '수메르 쐐기판'입니다. 사진 도판 옆으로 깊은 내용은 아니지만 핵심적인 설명이 있어서 이해가 잘 되고 있습니다.어릴때 보던 백과사전같은 느낌입니다. 심심하면 사진만 휘리릭 보다가 어느 순간 옆의 글을 읽으면서 그렇구나 싶은 이해의 순간이 찾아오는 백과사전 같습니다.



140페이지에 있는 스테인드 글라스 창을 보면서 이게 조각의 범주에 들어가나 싶습니다. 돔을 중심으로 둥근 창문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런가 싶기도 합니다. 163페이지의 시에나 대성강의 가고일 부분에서도 몰랐던 부분이었던지라 흥미롭게 보고 읽었습니다. 건축물의 지붕 또는 처마 외부로 돌출된 토수구(吐首口)로서 이상한 모습의 짐승이나 새 등으로 조각된 것을 '가고일'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면서 우리네 장식기와의 하나인 잡상과 비교되었습니다. 단층건물과 북층건물의 차이점이기도 하겠지만 사회역사적 맥락이 다르니 우리가 궁금해할 수 밖에 없는 내용입니다. 가고일에 대한 설명에서 대성당 건물의 침식과 부식을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여러 

유럽의 지역을 넘나들면서 보여주는 이책은 1부는 조각의 역사이며 2부는 조각가의 세계를 대표작으로 구분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처음보는 충격적인 조각들을 보면서 감탄과 환호를 하면서도 못내 동양의 조각에 대한 부분이 빠 져있어 동양의 조각도 나올수 있겠구나 싶은 희망이 생깁니다. 역시 예술품을 소개하는 책은 칼라 도판과 풍부한 해설이 최고입니다. 

#조각의세계사 #아이템하우스 #웬만한건유럽 

#조각 #공감 #예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