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어난 김에 수학 공부 : 기하 - 한번 보면 결코 잊을 수 없는 필수 수학 개념 ㅣ 그림으로 과학하기
샘 하트번 지음, 고호관 옮김 / 윌북 / 2025년 10월
평점 :

학습법은 시간이 지나면서 세월의 흐름에 따라 바뀐다. 기존의 학습법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조금씩 개선되어 가고 다양한 방법이 새롭게 나타난다. 그러한 학습법 중 하나가 이미지를 활용한 학습법이다. 이미지를 사용해 기억을 용이하게 하는 학습법이다. 이미지 학습법을 활용한 책이 요즘 인기 있는 추세이다. 이 책도 거리감을 느낄 만한 수학이라는 과목을 조금 더 쉽게 이미지로 접근한 책이다.

책의 표지 또한 깔끔한 이미지를 사용해 책의 중요 포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기하와 대수 두 버전으로 나누어 놓은 두 책은 하나의 시리즈이지만 책의 저자가 다르다. 그래서 따로 설명해 보려 한다.
[인상 깊은 부분 & 내용 & 느낀 점]

기하학이라는 분야는 단어만 보면 어렵게 다가오는 학문이다. 하지만 이미지 학습법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는 분야가 기하라고 할 수 있다. 기하를 처음 만나는 것은 언제일까? 사실 아주 어린 시절 가지고 놀던 도형 장난감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기하는 도형과 공간의 수학이다. 수많은 도형을 해석하고 이해하여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해나가는 과정을 다룬 과목이 기하라고 해도 될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수학보다 기하학이 먼저 발달했다는 것만 보아도 일상생활에 더욱 가깝게 자리하고 있는 것이 기하학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기하학은 일반적인 생각보다 더 오래전 고대 문명에서부터 발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길이를 재고 건물의 토대를 만들고 그렇게 하나씩 쌓아나간 기하학이라는 학문은 현재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시각화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물론 사람의 손으로 그리기 힘들기에 컴퓨터를 사용하기도 한다고 한다. 이렇게 상상만 하던 것들을 시각화 해낼 수 있는 기하학이라는 학문은 가히 창의성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기하학을 어렵게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기하학은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 많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손쉽게 뜨개질을 하는 엄마들도 기하학 패턴을 사용한다. 물론 그 사람들이 기하학을 염두에 두고 패턴을 짜지는 않는다. 하지만 기하학이라는 도형 학문은 그 정도로 인류의 창의적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보다 부드러운 그림체를 사용해 수학이라는 과목이 조금 더 정감있게 느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왜 기하학이라는 분야가 매혹적인지. 사람들이 기하학을 접하고 나면 어떤 매력을 느낄 수 있는지 천천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하학을 이용해 상상 속에만 존재하는 개념을 분석할 수도 있습니다. - P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