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책읽기 - 김현의 일기 1986~1989
김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이 온 날 1시간쯤 훑어 보았다가 두고는 한참이 지나 다시 꺼내 읽었다. 충실한 독서는 아니었다. 그의 사유 세계를 쫓아 간다는 것이 불가능함을 첫 날 간파했기 때문에 욕심내지 않았다. 물론 어떤 책인들 독자인 내가 다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겠으며 또 그럴 필요도 없을 것이다. 단지 나는 '열정'만은 작가와 공유하고 싶다. 작가가 미친 듯 쓴 부분에서는 나도 미친 듯 빨려 들어가 읽고, 담담하게 쓴 부분은 나도 담담하게 읽고 싶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그것도 어려웠다. 죽음을 예감하고 유작을 염두했기에 세세한 직설적 감정은 좀 걷어 낸 듯한 건조한 일기가 되어버린 아쉬움도 있다.
20살쯤의 일본 철학도가 쓴 일기를 본 적이 있다. 당시의 내 나이와 동갑이었는데 하루 하루가 철학적 사유의 기록이었으며 실천의 시간이었다. 헤겔 철학도 답게? 침략 중인 일제의 군국주의를 지지하는데서 뜨악했지만 지적 인식의 세계가 생활인 사람이 있구나 하는 충격이 컸었다. 그 후로 두 번째의 같은 충격을 이 책에서 받았다. 문학이론을 비롯한 온갖 주변의 세계를 거침없이 넘나들고 있는 것도 놀랍지만 그것보다 직업으로서 읽고 쓰고 비판적 사유를 하는 평론가가 아니라 그것이 생활, 삶, 존재 자체인 것에 놀랍다.
한 가지 좀 아타까운 것은 충분히 즐기는 사람이 될 수 있었을 터인데, 일기니 만큼 자유롭게, 읽은 작품을 갖고 놀아도 될 것 같은데 왜 그리 경직되어 있을까? 하는 점이다. '읽을 만하다.' '잘 만들었다' '재미있게 읽힌다' 로 밖에 감상을 표현하지 않는다. 훤하게 안다는 것이 순수한 재미를 빼앗아 가게 했거나 아니면 작가들의 창작물을 쉽게 대할 수 없는 존중과 관심 때문이었을까?
흥 맞춰 같이 노래 못하고 구경만 한 듯한 아쉬움이 남지만 작가가 이른 죽음을 예감하면서 이 정도 담담할 수 있는 것, 처연하고도 부럽다. 인식의 세계야 어쩔 수 없겠지만 그 모습은 내 것이게 하고 싶다. 그리고 자신의 계급적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다는 점도 마음에 든다. 지식인의 현실과 이상의 겉도는 모습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