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사 - 단군에서 김두한까지 ㅣ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1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가 양심적병역거부 문제에 대한 설득력있는 주장을 매체를 통해 활발히 하는 모습을 봤다. 결코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자신의 소신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아름답게 보였다. 그래서 이분을 통한 역사를 보고 싶었다.
알고 있는 역사는 일단 의심하며 휴지통에 던지고 새로 역사를 알아가거나 아니면 그냥 백지 상태로 비워둬야 한다는 것이 이 나라의 현실일 것이다. 요즘 역사교과서는 좀 다르리라 희망해 보지만 우리나라 기득권 세력이 누군지 교육계에서 큰 소리내는 세력이 어딘지 생각해 보면 국정교과서에 대한 의심은 계속 되어야 할 것 같다.
나 개인조차 결코 단순하지 않듯 역사 또한 모순적 양면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진실을 호도하여 행한 결과는 역사의 긴 흐름에 결코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없다. 그 처벌에 단호해야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실을 드러내는 일에는 조금의 누락도 없어야 된다는 생각을 한다.
다른 선진국들의 근현대사도 피의 역사다. 우리 또한 그렇다. 그러나 우리는 근대를 끝내지 못하고 근대의 모순을 그대로 떠 안고 있다. 인권의식은 공유되고 있지만 인간취급받는 사람은 항상 강자다. '권력은 국민으로 부터 나온다'를 믿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항상 2등 시민으로 뭔가에 눌려 있는 듯한 소외된 소시민으로 스스로를 내면화 한다는 것이 나만의 착각일련지......2만불 시대를 바라보는 풍요 속에 정작 중요한 자긍심. 자존감은 빠져 있는 듯 하다. 고문치사와 민간인 학살 부분을 읽으며 읔~ 하고 토할 것 같았다. 구토를 일으키는 역사가 우리의 권력에 의해 행해지고 지금까지 그 억울함을 온당히 호소하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행복하기란 멀고 책임은 무겁다.
일제가 미제로 바뀌고 친일 기득권 세력이 미제 기득권 세력으로 이어지면서 이 나라의 온갖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다. 청산 못한 역사는 생각보다 더 질기게 생명을 이어가며 이 나라를 뒤틀고 있다. 그러나 희망을 갖는다. 자유로운 젊은 세대가 있다. 눈치보지 않고 당당한...... 그들이 자본의 힘에 너무 깊숙이 말려 들지 않기를 바랄뿐이다. 그리고 지금이라도 과거사에 대한 청산과 진실을 밝혀 햇빛으로 끌어내어야 한다. 2만불이나 통일보다 더 시급한 우리의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