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 - 잃어버린 기술
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 지음, 전병욱 옮김 / 쉴터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요즘 연쇄 살인범으로 인해 사형제도 존폐 문제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몇몇 의원들이 폐지를 발의 한다는데 가능할까 싶다. 교화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오직 '응징과 추방'의 감정만 남은 이런 흉악범들을 둘러 싼 용서의 문제를 실화로 다루고 있다.

 이청준의 소설이 생각난다. 어린 아이를 유괴해 잔인하게 살해한 사형수는 회개하여 영적평화를 누리지만 증오로 미쳐가는 부모의 이야기. 보통 인간들도 갖지 못한 지고의 축복을 누리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살인자다. 천국 속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죄수와 지옥에서 살아 가는 부모의 대비가 인상적이었다.

용서가 가해자까지 구하지는 못하더라도 피해자인 자신을 구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리라. 증오는 복수의 성공과 가해자의 회개 여부와 상관없이 잔인하게도, 상처받은 자신을 파멸시킨다. 고통 속에서 상대를 용서한다는 것은 분명 진화다. 사람이 경험의 시간을 통해 서서히 성숙해가는 것도 기적같은 일지지만 단번에 내면적 업그래이드의 기회는 이런 고통 속에서 주어지는 것 같다. 용서란 자격없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며 가해자의 변화와 무관한 것이라 한다. 끔찍한 고통으로 부터 무엇을 얻을 것인가를 우리는 선택해야 하며 나를 파괴한 사람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용서라 한다. 그래서 용서는 인간 모두에게 주어진 선물이며 '어둠은 어둠을 몰아낼 수 없다. 빛만이 어두을 몰아낼 수 있다.' 한다. 분노, 화, 정의를 표현하되 용서의 자리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

읽으면서 '이론은 아름답구나' 하는 시니컬함도 들었고 내 함량으로 봐서는 극한 고통 속에서 용서가 가능할거 같지는 않다. 망각과 분노의 에너지가 분산될 시간을 믿고 견디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용서가 아닐까  그러나 이 책은 종교의 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종교.... 내가 가지지 못한 거대한 힘이다.  물론 종교와 상관없이 '용서'라는 말 자체가 상대를 향한 개념이며 주체적 힘을 전제로 한다. 책의 부제에서 보듯이  '잃어버린 기술' 이다. 내 속에 기생하고 있는, 아니 내가 양육하고 있는 짐승의, 어둠의 세계를 인정한다면 '용서'는 영원한 우리의 화두가 될 수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