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목 그대로 “십자가 처형”에 관한 책!
기독교 신앙 한 가운데 있는 “십자가”가 “처형” 방법 중 하나였다는 점을 거침없이 상기시켜주는 책이다.

2. 신약성서, 고대 유대교, 헬레니즘 연구에 큰 영향력을 남긴 마르틴 헹엘은 이 책에서 십자가 형벌이 고대 세계에서 가진 사회·문화적 의의를 찬찬히 고찰한다. 십자가는 야만인들의 사형 방식(5장)이자, 로마의 최고 형벌(6장)이었으며, 반란을 일으킨 이방인들과 폭력범들, 강도들에 대한 형벌(7장)이었고, 노예 형벌(8장)이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어권 세계(10장)는 물론, 유대인들(11장)에게도 극심한 처형방식으로 인식되었던 게 바로 십자가 처형이다.

3. 화형과 참수형 보다 더 심한 형벌이었던 십자가는 강도들의 강도활동을 억제하고 강도를 당한 피해자들에게는 어느 정도의 만족감을 주는 사회유지 기능도 했다. 이렇게 저자를 따라 십자가 처형의 민낯을 마주하다보면 십자가는 더 이상 낭만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렇게 독자는 “하나님의 아들”이 당대 최고 형벌인 “십자가”에 죽었다는 아이러니함에 다다르게 되는데, 극도로 비참한 인간과 동일시하신 하나님의 아이러니는 다름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하여 자신을 내어주신 것과 맞닿아 있다.

4. 1976년 독일어판 저본에 1977년 존 보우덴에 의해 영역된 내용들을 추가한 것을 번역한 이 책은 한층 더 풍성해진 게 분명하다.
게다가 많은 각주는 본문에 집중하고자 한다면 건너 뛸 수도 있지만, 십자가 처형을 좀 더 충분히 이해하는데 부족함 없는 내용들로 가득하다.

5. 마지막 “12장 요약 및 결론”의 일목요연한 정리는 무척 매력적이다. 이 책의 내용, 그 이상을 말해주고 있는 이 장은 십자가를 제대로 묵상하기 위해서라도 주의 깊게 읽어야 한다. 특히 그 중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 있다.

“우리 시대의 신학적인 추론에 따르면, 인간이자 메시아이신 예수의 독특한 죽음의 형태가 거리끼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사람들은 이 거리낌을 모든 가능한 방법을 동원하여 약화시키고, 해소하여, 길들이려 한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우리의 신학적 반성이 참되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 고대 시대에 십자가형이 얼마나 가혹했는지 반추해보는 것은 오늘날 신학과 설교에서 종종 간과하는 실체에 대한 중대한 상실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180p)”

6. 십자가를 묵상할 때 꼭 읽어야 할 책, 다른 말로 다가오는 사순절에 꼭 읽어야 할 책이 바로 이「십자가 처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나님은 누구를 사랑하실까? - 두 돼지 이야기
필 비셔 지음, 저스틴 제라드 그림, 정모세 옮김 / IVP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살과 7살, 두 아이를 키우는 입장이다 보니 자연스레 그림책에 관심이 많다. 특히, 믿을만한 출판사에서 그림책이 출간되면 무척 눈여겨보는 편이다. 아이들에게 성경적 가치관을 전해주고픈 부모의 마음 때문일 테다.

그러던 중 최근에 나의 레이더망에 걸린 책이 있다. IVP에서 나온 <하나님은 누구를 사랑하실까?>가 바로 그 책이다. 2008년에 살림에서 출간된 바 있는 이 책이 IVP에서 다시 나온 데에는 충분한 이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며 그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야기는 그림책을 고르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지은이 “필 비셔”(Phil Vischer)는 좋은 이야기꾼이다. EBS에서도 방영된 적 있는 그의 작품 「야채 극장: 베지 테일」(Veggie Tales)은 미국의 학부모들이 추천한 최고의 컨텐츠 대상을 수상하였고, 지금도 ‘바른 기독교 세계관과 크리스천 리더십을 배우는 최고의 성품 교육 콘텐츠’로서 꾸준히 판매되고 있다. 기독교 신앙이 우러난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선사하기를 즐기는 그의 작품은 믿고 읽을 수 있다.

이야기와 잘 어우러진 그림은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최고의 도구다. 그린이 “저스틴 제라드”(Justin Gerard)는 아내와 함께 Gallery Gerard를 운영하며 드림웍스, 디즈니, 펭귄북스 등 다양한 회사와 그림 작업을 하고 있다. 단순히 그림 실력만 뽐내지 않고,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이야기를 담은 그림 작품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멋진 이야기를 알아보고 그림으로 표현하려는 작가는 그리 흔치 않다.

탁월한 해외 그림책이라 하더라도 좋은 옮긴이를 만나지 못하면 빛을 발하기 어렵다. 옮긴이인 IVP 정모세 편집장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짐 월리스의 「회심」 뿐만 아니라, 1,152페이지의 성경주석(「NIGTC 마가복음」)을 공역한 이력이 있다. 번역 실력이야 말해 뭣하랴. 그런데 그 무엇보다 가장 돋보이는 점은 네 아이의 아빠라는 것. 자녀 넷을 키우며 쌓인 그림책 내공이 번역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하나님은 누구를 사랑하실까?>(원제 Sidney & Norman: A Tale of Two Pigs)는 “시드니”와 “노먼”이라는 두 돼지의 이야기다. 서로 옆집에 사는 직장인 시드니와 노먼은 서로 상반된 모습을 하고 있다. 노먼은 착하고 훌륭하며 언제나 최고의 모습을 보여 준 반면, 시드니는 실수 많고 다른 사람들에게 실망을 안겨주는 등 부족한 점 많은 돼지다. 두 돼지에게 10월 어느 날 아침, 편지 한 통이 각각 배달되었다. “다음 주 화요일 편한 시간에 엘름가 77번지로 나를 만나러 와 주길 바란다. 너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단다. 마음을 담아, 하나님이” 편지 내용에 따라 초대받은 날, 해당 장소로 간 시드니와 노먼은 하나님께서 들려주시는 이야기를 들었다. 하나님께서 전하신 메시지는 단순했다. 모든 일에 자신만만했던 노먼에게는 스스로의 교만을 깨닫게 하는 메시지를, 매사에 실수투성인 시드니에게는 하나님의 지극한 사랑의 메시지를 전하셨다. 그 후 시드니와 노먼은 자신을 대하는 태도가 조금씩, 아주 조금씩 변하였다.

잔잔한 이야기 흐름 속에 담긴 묵직한 메시지는 우리를 돌아보도록 하는 데 충분하다. 시드니와 노먼으로 대변된 두 가지 상반된 모습은 우리 가까이에 있다. 우리 집에만 봐도 그렇다. 노먼을 보며 첫째가, 시드니를 보며 둘째가 생각났다. 첫째는 비교적 알아서 잘 하는 편이라 키우는 데 수월했지만, 둘째는 고집불통에 실수투성이다. 노먼과 시드니는 내 안에도 있다. 타인들이 보기에는 노먼 같은 나지만, 스스로 볼 때는 영락없이 시드니다. 우리 주변에 흔하디흔한 노먼과 시드니에게 하나님께서는 말씀하신다. “나는 너를 사랑한단다.”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가 하는 일이나 행동 때문이 아니라 아무런 조건 없이 주어지는 것이다. 훌륭한 노먼이든, 실망스런 시드니든 하나님께서는 우리 모두를 존재 자체로 사랑하신다. 이 책을 통해 잊고 있던 하나님의 마음을 상기할 수 있었다. 나에 대해, 아이들에 대해.

“우리 아이들에게 이 이야기에 나오는 단순한 진리를 이야기해 주어야 한다. 하나님은 노먼이 받는 상이나 칭찬 때문에 노먼을 조금이라도 더 사랑하지 않으시며, 하나님은 시드니의 모자란 점 때문에 시드니를 조금이라도 덜 사랑하지 않으신다는 진리 말이다.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가 하는 일에는 전혀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다.”-[이 책을 자녀들에게 읽어 주려면] 中

성인이든, 아이이든 이 책에서 말하는 단순한 진리를 혹시라도 잊은 사람이 있다면 가벼운 이 그림책 한 권을 읽으며 하나님의 따뜻한 음성을 듣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회의 정치학 - 기독교 세계 이후 교회의 형성과 실천
스탠리 하우워어스 지음, 백지윤 옮김 / IVP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91년에 출간된 원서가 30년 가까이 지난 2019년에야 국내에 소개되는 경우는 흔치 않을테다. 만약 그런 책이 있다면 분명 세월이 지나도 읽을 가치가 있는 유의미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IVP에서 출간된 <교회의 정치학>이 바로 그런 책이다.

이 책의 원서 제목은 <After Christendom? : How the church is to behave if freedom, justice and a christian nation are bad ideas>으로서, 많은 경우가 그렇듯 부제(“자유, 정의, 기독교 국가가 나쁜 생각이라면 교회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서 이 책의 주제를 좀 더 명확히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자인 스탠리 하우어워스가 펼치는 핵심 논제는 간단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다. 구원, 정의, 종교적 자유, , 교육 등 다양한 영역의 사회적 통념과 전제들을 문제 삼고(부제의 자유, 정의, 기독교 국가가 나쁜 생각이라면에 해당), 이를 교회의 정치, 교회 중심의 해석으로 전환시킨다(부제의 교회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해당). “교회됨을 강조하는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신학이 정치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고스란히 보여주는 책이 바로 <교회의 정치학>이다.

논제에 따라 먼저, 그가 하는 문제 제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구원의 정치학(1)에서 그는 콘스탄티누스로부터 시작된 크리스텐덤(국교가 된 기독교)이 수많은 사람들을 살리고 구원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기독교를 증언하고 살아내는신앙이 아닌 하나의 믿음 체계로 규정시켜 버렸다고 꼬집는다. 정의의 정치학(2)에서는 정의가 기독교적 전제로 채색하지 않은 사회적 행위자가 되는데 사용되고 있다는 점과 이렇게 자유주의 사회가 만든 정의의 개념에 사로잡힌 그리스도인의 상상력에 대해 지적한다. 자유의 정치학(3)에서는 국가가 종교의 자유를 허락한 점이 잘한 것이라는 전제에 대해 깨우치는데, 특히, 법적으로 보장된 종교의 자유에 주목한 나머지 복음을 진리로 선포하는 것과 국가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하는 진정한 자유용기를 상실한 교회를 경계한다. 이 책의 핵심인 교회의 정치학(4)에서는 돌봄훈련이 양립 불가한 것처럼 보이는 현대 교회가 돌봄의 공동체가 되고자 하는 유혹에 빠져있음을 지적한다. 그에 따라 그리스도인됨이 자기 이해의 범주 및 그것과 상관있는 돌봄에 대한 인식으로 이해되는 것 또한 안타깝게 여긴다. 성의 정치학(5)증언의 정치학(6)에서는 좀 더 실제적인 영역인 교육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한다. 혼란스런 성윤리와 결혼이 만든 가정이 우리의 중심이 되어감을 상기시킴과 동시에 공교육에서 일어나는 역사적 사실의 왜곡에 대해 교회가 아무런 도전을 하지 못한 것을 비평한다.

그렇다면 각 장마다 제시한 문제에 대한 해답은 무엇인가? 하우어워스가 개정판 서문에 밝히듯 자신도 이 책에서 제기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른다고 고백한다(그래서 제목 끝에 물음표가 달려있다고 한다). 다만, “나에게 중요한 문제는 대안의 부재보다, 그리스도인들이 현대 국가가 대표하는 거짓된 보편주의와 협상하는 법을 어떻게 배우는지 밝히는 것이다.”(20p) 그리고 우리는 계속 나아감으로써 계속 나아간다.....참으로 나는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은 우리의 것이 아님을, 세상을 안전하게 만들 수 없음을, 그리고 해결책은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함으로써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신 대로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들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20p) 그리스도인의 그리스인됨, 교회의 교회됨이 이 책에서 하우어워스가 제안하는 유일한 해답 아닌 해답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교회 바깥에는 구원이 없다! 우리는 유일하게 구원의 예증을 삶으로 보여주는 교회 공동체에서 구원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1). 사회질서가 갖는 한계에 저항하기 위해 정의보다 우리가 우선적으로 붙잡아야 할 것은 하나님이시며(2), 교회의 자유는 국가가 허락하는 종교의 자유에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대한 신실함에서 온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3). 그리고 구원을 믿음의 체계로만 인식하는, 개인을 위한 복음을 넘어서기 위해 교회는 훈련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벽돌 쌓은 법을 배우는 것처럼 교회 공동체 안에서 스승으로부터 그리스도인됨을 훈련할 때 우리는 진정한 제자가 되어갈 것이다(4). ‘과 가정의 영역에서도 공동체 일원, 공동체의 관계 안에서 생각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그리스도인으로 사는 방법 중 하나로 독신이 있다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다(5). ‘교육에서 우리는 우리의 삶을 결정하는 권세들을 분명히 명명하도록 도와줌과 동시에, 세상의 전제 반대편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증언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6).

37쪽에 달하는 주석 분량은 이 책이 국내에 출간된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책들 중에서도 학술적으로 좀 더 치우친 책이라는 걸 알려준다. 게다가 각 장마다 등장하는 많은 이론가, 신학자들의 다양한 개념들은 어렵게 다가오기도 한다. 하지만 하우어워스의 안내를 계속 따라 가보면, 난해함을 지나 분명한 문제 제기와 교회됨에 대한 필연적 자각에 이르게 된다. 그게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다! 부디 이 책을 통해 많은 이들이 자신을 사로잡는 사회적 통념과 전제에 스스로를 그냥 내어주지 않고,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상상력으로 갱신되고 충만해지는 새해가 되길 바라본다.

 

정답 없이 사는 것을 배우면서, 또한 기독교 세계 이후를 사는 것을 배우면서, 그리스도인들은 생존법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바라건대 우리가 발견한 그 생존법은 우리 자신의 삶에 놀라움을 줄 뿐 아니라, 우리의 비그리스도인 형제 자매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가 예배하는 하나님을 생각하면, 그렇게 기대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20~2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 기독교 - 평범한 일상에서 배우는 진짜 신앙 이야기 안녕, 기독교
김정주 지음 / 토기장이(토기장이주니어)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 안에서 기독교 신앙으로 살아가는 것은 무엇일까? 신앙은 과연 우리 삶과는 어떤 연결성이 있을까? 신앙이 삶과친해지려면 삶 안에서 신앙이 계속 읊어져야 한다.
<안녕, 기독교>는 삶의 치열함 가운데, 신앙이 가지는 의미를 끊임없이 묵상해 온 사역자의 열매이자 고백이다. 하나님, 죄와 타락 그리고 구원,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은혜, 죄와 회개, 기도, 예배, 고난, 일상, 관계, 일과 영성, 유혹과 시험, 위로, 말씀 묵상, 섬김과 교제, 전도, 교회, 책의 목차를 보면 신앙이, 내용으로 들어가보면 삶이 보인다.
저자의 삶 속에서 경험한 살아있는 에피소드, 에피소드에서 길어낸 신앙에 대한 묵상, 시적 표현들과 적절한 일러스트. 책을 읽다보면 신앙은 결코 삶과 분리될 수 없다는 걸 인정하게 된다.

-‘기도하고 행동하자’는 곧 ‘행동하며 기도하자’와 같은 말이다. 할 수 있는 건 하자. 그리고 할 수 없는 건 맡기자(101p).
-아픔으로 성숙해지는 데는 한계가 있다. 우리에게는 기쁨이 필요하다. 그래서 낯선 표현이지만 나는 ‘기쁜 만큼 성숙해진다’고 말하고 싶다(122~123p).
-그 시절에 나는 ‘나’에 대해서밖에 아파하지 못했다. 그러다 내 신앙이 점점 성숙해 가고 있다고 생각되던 때는 아픔의 영역이 ‘나’에서 ‘너’로, ‘너’에서 ‘우리’로 옮겨졌을 때였던 것 같다(125p).
-내가 아픔을 아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잘 아파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계속 성숙해져 감으로 아파할 수 있는 영역들이 늘어났으면 좋겠다. 기쁨을 나누면 질투가 되고, 슬픔을 나누면 약점이 되는 세상 속에서 아픔으로 사랑을 외치고 싶다(126p).
-나는 “이러할 때 미워하면 안 된다. 용서해야 한다. 사랑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지 않다. 다만 “잠깐 미워해도 괜찮아. 잘 미워하면 돼”라고 말해 주고 싶다(148p).
-하나님은 그런 이등병의 마음을 가진 신자들을 사용하셔서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신다. 내가 무거운 짐을 지고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데 내 주변에 “제가 들어드리겠습니다”라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 가득하다면 얼마나 따뜻할까? 이등병 신자들이 많아질수록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아름답게 세워져 나간다(196~197p).
-교회가 교회 되고, 사람이 사람 되는 그런 따뜻함이 회복되고, 사람들이 그 따뜻함 때문에 교회에 모이게 되었으면 좋겠다(214p).
-그렇다면 교회는 무엇을 해줄 수 있는가? 교회란 아픔에 마침표를 딱 찍어서 ‘이제 안 아픔’으로 만들어 주는 곳이 아니라, ‘마음껏 아플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곳이다(225p).
-“전도사님. 저는 OO이가 이번 수련회 때 무조건 우리와 함께 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게 우리 공동체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이니까요. 만약 우리가 OO이를 품고 함께 가지 못한다면 우리 교회가 존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우린 교회잖아요.”(228p)​

저자는 ‘속성의 유혹’을 알아차리고 ‘성숙의 길’로 나아가길 바라마다하지 않는다.
나도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 많은 판다 - 교회 때문에 아파하고 고민하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단상
최대위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물결플러스를 통해 "에끌툰" 작가들의 기독 웹툰이 여러 권 출간되었다.
누구에게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만화를 도구로 삼아 신앙에 대해 고민하는 이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주고자 한 전략(?)은 지금까지 매우 성공적으로 보인다.

성공 가도에 힘을 보텐 또 하나의 "새물결플러스 X 에끌툰" 작품이 나왔는데, 바로 "생각 많은 판다"(최대위)다.
"교회 때문에 아파하고 고민하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단상"이라는 이 책의 부제가 책의 상당 부분을 설명해준다.
교인이라면 ​한번쯤 경험해봤을법한 교회에 대한 고민과 생각을 이 책에서 솔직하게 마주할 수 있다.

이 책과 기존에 출간된 기독 웹툰들과의 차별성은 책의 툭징을 말해준다.
첫째, 스토리가 아니라 떠오르는 여러 가지 단상들을 다룬다.
기존 웹툰들이 특정 주제를 스토리 안에 담아내고자 노력했다면, 이 책은 짤막한 단편들(총 50화)마다 다른 주제들을 담아내었다.
요리로 치면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기에 뷔페에 가깝고, 야구로 치면 관련 주제를 에둘러 표현하지 않기에 돌직구를 계속 던지는 것과 같다.
그렇게 작가가 하고픈 말, 주제를 가감없이 마구마구 다룬다.​

둘째, 젊은이들을 끌어안으려는 노력들이 가득하다.
만화로 접근한 것도 그렇지만, 말풍선에 등장하는 초성 표현들은 젊은이들의 표현 방식을 그대로 가져왔다.(겁먹지 말라, 친절하게 설명이 달려있으니^^)
이런 표현방식은 젊은 작가가 교회에 대해 고민하는 젊은이들과 좀 더 긴밀히 소통하고자 선택한 표현 방식의 일부이다.
여기 등장하는 주제들 역시 기성세대들보다 젊은 세대(10대부터 많게는 40대 정도까지) 신자들에게 더 공감될 내용들이다.
작가는 자신과 동시대의 사람들의 고충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던 것 같다.

셋째, 어떤 교훈이나 결론, 답을 내려주지는 않는다.
주인공 판다와 그 친구들은 교회에 대한 고민에 섣부른 답보다 우선 공감을 먼저 한다.
그렇기에 교회를 향한 독자의 고민이 이상히 여겨지지 않을 수 있다.
반면, 그런 공감 중심의 대응에 지친 이들에게는 책의 전개가 문제 제기 혹은 하소연 차원에서 그칠수도 있다는 게 이 책이 가진 단점일지도 모르겠다.

바라기는 이 작은 만화책을 통해 젊은 성도들에게는 공감을 통한 위로가 있고, 이들을 양육하는 목회자에게는 성도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그래서 이 땅에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가 더 온전해지길 바라본다.

"나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세상에서 찾아내고 또 기대하는 것이 그리스도인이라고 믿는다. 그것이 내가 계속해서 만화를 그리는 이유다." - 작가의 말 중에서

[덧]
난 6화(두루의 일요일), 36~37화(헌신페이1~2), 44화(세상사람), 45화(진상)가 참 인상적이었다. 당신에겐 어떤 주제가 흥미로웠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