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기독교 - 평범한 일상에서 배우는 진짜 신앙 이야기 안녕, 기독교
김정주 지음 / 토기장이(토기장이주니어)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 안에서 기독교 신앙으로 살아가는 것은 무엇일까? 신앙은 과연 우리 삶과는 어떤 연결성이 있을까? 신앙이 삶과친해지려면 삶 안에서 신앙이 계속 읊어져야 한다.
<안녕, 기독교>는 삶의 치열함 가운데, 신앙이 가지는 의미를 끊임없이 묵상해 온 사역자의 열매이자 고백이다. 하나님, 죄와 타락 그리고 구원,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은혜, 죄와 회개, 기도, 예배, 고난, 일상, 관계, 일과 영성, 유혹과 시험, 위로, 말씀 묵상, 섬김과 교제, 전도, 교회, 책의 목차를 보면 신앙이, 내용으로 들어가보면 삶이 보인다.
저자의 삶 속에서 경험한 살아있는 에피소드, 에피소드에서 길어낸 신앙에 대한 묵상, 시적 표현들과 적절한 일러스트. 책을 읽다보면 신앙은 결코 삶과 분리될 수 없다는 걸 인정하게 된다.

-‘기도하고 행동하자’는 곧 ‘행동하며 기도하자’와 같은 말이다. 할 수 있는 건 하자. 그리고 할 수 없는 건 맡기자(101p).
-아픔으로 성숙해지는 데는 한계가 있다. 우리에게는 기쁨이 필요하다. 그래서 낯선 표현이지만 나는 ‘기쁜 만큼 성숙해진다’고 말하고 싶다(122~123p).
-그 시절에 나는 ‘나’에 대해서밖에 아파하지 못했다. 그러다 내 신앙이 점점 성숙해 가고 있다고 생각되던 때는 아픔의 영역이 ‘나’에서 ‘너’로, ‘너’에서 ‘우리’로 옮겨졌을 때였던 것 같다(125p).
-내가 아픔을 아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잘 아파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계속 성숙해져 감으로 아파할 수 있는 영역들이 늘어났으면 좋겠다. 기쁨을 나누면 질투가 되고, 슬픔을 나누면 약점이 되는 세상 속에서 아픔으로 사랑을 외치고 싶다(126p).
-나는 “이러할 때 미워하면 안 된다. 용서해야 한다. 사랑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지 않다. 다만 “잠깐 미워해도 괜찮아. 잘 미워하면 돼”라고 말해 주고 싶다(148p).
-하나님은 그런 이등병의 마음을 가진 신자들을 사용하셔서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신다. 내가 무거운 짐을 지고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데 내 주변에 “제가 들어드리겠습니다”라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 가득하다면 얼마나 따뜻할까? 이등병 신자들이 많아질수록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아름답게 세워져 나간다(196~197p).
-교회가 교회 되고, 사람이 사람 되는 그런 따뜻함이 회복되고, 사람들이 그 따뜻함 때문에 교회에 모이게 되었으면 좋겠다(214p).
-그렇다면 교회는 무엇을 해줄 수 있는가? 교회란 아픔에 마침표를 딱 찍어서 ‘이제 안 아픔’으로 만들어 주는 곳이 아니라, ‘마음껏 아플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곳이다(225p).
-“전도사님. 저는 OO이가 이번 수련회 때 무조건 우리와 함께 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게 우리 공동체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이니까요. 만약 우리가 OO이를 품고 함께 가지 못한다면 우리 교회가 존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우린 교회잖아요.”(228p)​

저자는 ‘속성의 유혹’을 알아차리고 ‘성숙의 길’로 나아가길 바라마다하지 않는다.
나도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