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로 풀고 세기로 엮은 대세 세계사 2 - 14세기부터 21세기까지 대세 세계사 2
김용남 지음, 최준석 그림 / 로고폴리스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세계사는 학교 다닐 때도 싫어했던 과목이고, 지금도 딱히 좋아하진 않는다.

읽기도 어려운 외국 이름에다가 뭔 왕조들은 그렇게나 많은지 아무리 기억하려고 해봐도 오래 기억에 남지 않았고 그러다보니 세계사 성적은 늘 바닥이었다.

그래도 다행히 역사와 관련된 소설들은 좋아해서 소설 속에 등장하는 역사적 인물들의 관계와 사건들은 쉽게 파악이 됐다.

아무래도 단순한 나열식이 아니고 흐름이 이어지는 이야기였기 때문에 머리에 좀 더 쉽게 들어왔던 것 같다.


​어떤 사건이든 원인 없는 결과는 없으며, 한 나라에서 발생한 사건은 단순히 그 나라에만 한정되지 않고 주변나라에도 영향을 주게된다.

그런데 보통 세계사를 배울 때는 그저 단편적 사건에 대해서만 암기식으로 무장정 외우다보니 사실 제대로 이해도 못하고 외운 것도 금방 잊어버리게 된다.


『  대세세계사2 』는 이런 일방적인 암기식의 세계사 공부에서 벗어나 말그대로 그 시대에 존재했던 전 세계의 나라들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총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엮어놓은 세계사 책이다.

21세기 현대사까지 나와 있기 때문에 나와는 관계없는 옛날 옛적 얘기들이 아니라 이전 세기들이 내가 살고 있는 현재에까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유럽이나 미국 혹은 중국 등 강대국들의 역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라의 역사에 대해 서술해 놓았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의 역사는 다른 세계사 책에서는 흔히 등장하는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더 흥미로웠다.

그리고 작가 역시 힘의 논리에 치우쳐 어느 한 쪽의 시각만 다루지 않고  다양하고 상반된 의견들을 골고루 반영해 최대한 객관적으로 집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하니 더 믿음이 갔다.

또 세계사 책이라고 하더라도 정치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에만 치우치지 않고 경제, 문화, 과학 등 그 사회의 전반적인 변화를 총제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그 때의 시대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 대세세계사 1』에서는 인류의 탄생부터 13세기까지의 역사를,『 대세세계사 2』에서는 14세기부터 21세기 현재까지의 역사를 총망라해 놓았다.

1편에서 2편으로 이어지기는 하지만 1편을  읽지 않았다 하더라도 2편을  읽는데는 전혀 지장이 없으니 2권부터 읽어도 무방하다.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지만 굳이 한가지 아쉬운 점을 꼽자면 8세기에 걸친 전 세계 역사의 방대한 양을 한 권에 모두 담다보니 각 나라 역사의 깊은 내용에 대해서는 알기 어려웠고, 당사국에서는 나름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사건도 단순히 한 줄로 넘어가버린다는 것이다.

 

이번 대세세계사를 통해서는 세계사 전반에 대해 훑는 시간이 되었다면 다음번에는 한 나라 혹은 한 세기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룬 책도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