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투자가 심플했으면 좋겠습니다 - 복잡한 소음은 뒤로하고, 주식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원칙만 남겨두는 법
전주불도저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투자를 하고 있긴 하지만 금액이 큰 것도 아니고 개별 주식보다는 ETF 위주로 매수하는 정도이다보니 사실 저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게다가 최근 장이 계속 안 좋았어서 계좌를 방치하다시피 하다보니 더더욱 관심이...ㅠㅠ .

그런데도 이 책을 선택한 건 순전히 제목 때문이었다. 넘쳐나는 주식 관련 정보들을 보다 보면 주식 투자를 잘하려면 기업 재무제표도 볼 줄 알아야 하고, 거시경제도 알아야 하고, 환율, 채권의 흐름도 알아야 할 것만 같다. 그런데 직장 생활을 하면서 이 모든 것들에 대해 일일이 조사하고 살펴보면서 투자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저자는 심플하게 투자하라고 하니 도대체 어떤 비결이 있는건지 혹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면서도 마음 한 켠으로는 '에이 말도 안되지 심플하게 투자하라면서 그냥 ETF나 하라는 거 아냐' 라는 의심도 있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내용은 둘째치고 문장이 쉬우면서도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의 논리가 명확해 막힘없이 책장이 술술 넘어갔다. 책 초반에는 차트가 어떻고, 재무제표가 어떻고 이런 기술적인 내용은 전혀 없었고 왜 주식투자를 해야하는지, 그리고 대부분의 어떤 생각들 때문에 주식 투자에 실패하는 것인지 그 원인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우리가 주식투자에 있어 흔히 상식이라고 여기는 것들이 어떤 면에서 잘못됐고,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이해하기 쉽게 알려준다.

저자는 일상생활에 바쁜 직장인일수록 이것저것 다 잘 하려고 하지 말고 진짜 중요한 핵심만 남겨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흔히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데 저자는 주식으로 부를 일구려면 분산투자보다는 한정된 곳에 비중을 크게 실을 것을 조언한다. 물론 ETF와 같이 분산해서 투자했을 경우 변동성을 낮출 수는 있겠지만 변동성을 낮춰 잃지 않는 것이 주식 투자의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개인은 개인에게 풍부한 자산인 시간에 투자해야 한다고 한다.

결국 좋은 기업을 선별해 싸게, 오랜 기간 꾸준히 매수해 규모를 키우는 것이 부를 이루는 길인데 그러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오랜 기간 흔들림없이 투자할 수 있는 기업을 선별하는 눈을 기르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기업을 선별할 수 있는 안목을 무형자산이라고 부르는데, 개인에게 이런 무형자산이 있다면 투자 규모를 키우기 위해 부채를 활용하는 것도 마다할 필요가 없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처음 기업을 매수했을 당시의 가치가 사라졌는데도 무조건 장기간 투자가 유리하다며 쇠퇴하고 있는 기업을 계속해서 보유하는 일은 경계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기업이 우리가 심플하게 오랫동안 투자할 수 있는 기업일까?

이 질문에 저자는 탁월한 기업을 선별하는 일곱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탁월한 기업을 선별하는 일곱 가지 기준

1. 신규 진입의 경쟁 강도가 어느 정도인가

자본만으로 신규 진입이 어려운 해자를 갖춘 기업에 투자하라. 현재 시점에서 미래에 성장성이 기대되는 업종에 환호하기 보다는 전통산업이더라도 수익성과 성장성이 지속될 수 있는 기업을 눈여겨 보라. 책에서는 폐기물 산업, 제약, 채권추심을 예로 들고 있다.

2. 이익 성장의 지속성이 있는가

이익의 성장이 외부 환경에 좌우되는 기업이 아니라 기업 내부의 무형자산에서 기인하는 기업에 투자하라. 단기적인 수혜 모멘텀과 경기 부침에 관계없이 이익이 성장하는 해자를 갖춘 기업이어야 한다. 10년 동안의 시계열을 통해 매출성장이 지속적인지, 원재료에 따라 이익률이 변하지는 않는지 살펴본다.

3. 질이 좋은 이익인가

업황과 관계없이 브랜드나 역사와 같이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무형자산에서 매출 성장이 일어나는 기업에 투자하라. CAPAX 투자와 같은 시간이 지나면 낡아질 자산이 아닌 시간이 지날 수록 빛을 발하는 브랜드 가치를 지닌 기업이 매력적이다.

이런 기업으로 에르메스를 예로 들 수 있다.

4. 매니지먼트와 이사진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가

회사의 주요 사안을 결정하는 이사진이 일반 주주와 이해관계가 일치할만큼 주식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하라. 실제 내 돈이 좌우되는 환경일 때 경영진은 사업 성장에 몰두할 수 밖에 없다.

5. 고객이 고객을 불러오며 홍보비를 아낄 수 있는 기업인가

영업이익률을 결정짓는 핵심요소인 판관비에 해당하는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열혈 충성 고객을 확보한 기업에 투자하라.

테슬라, 에르메스와 같이 자발적으로 브랜드를 열렬히 홍보하고,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부러움을 자아내 별다른 홍보가 필요없다면 무형자산의 힘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강해진다.

6. 숫자의 일관성이 있는 기업인가

10년 간의 시계열을 확인했을 때 숫자가 일관되게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하라. 매출과 영업이익, 잉여현금흐름이 10년 연속 성장하는지, 순이익 대비 CAPAX 비중이 안정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지, 영업이익률 및 수익성 밴드가 꾸준히 우상향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7. 탁월한 자본 관리 능력이 있는가

보유 기업의 속성을 구분하고, 속성이 다른 최상단 일등 기업에 분산 투자하라. 장기 투자에도 편안하기 위해서는 기업별 비전과 자본 활용 방식을 이해하고 투자기업을 분산해야 한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주가는 결국 기업의 가치에 수렴한다는 것이다. 이 기업에 대한 주식의 가격을 매기는 것은 시장 참여자이지만 주가는 결국 그 기업이 사업을 얼마나 제대로 잘하고 있는지에 달려있다. 일시적으로는 시장 참여자들의 기분에 좌지우지되어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 할 수는 있지만 단기간의 가격이 그 기업의 가치는 아니라는 점을 잊지 않는다면 일시적인 가격 반등, 하락에 휘둘리지 않고 심플한 투자를 할 수 있게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