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영혼을 다독이는 관계 심리학 - 나르시시즘과 외로움
우즈훙 지음, 박나영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흔히 나르시즘 또는 나르시시즘이라고 할 때 떠올리는 이미지는 자신에게 취한 자뻑(?) 혹은 과도한 자기애로, 그닥 긍정적인 뉘앙스의 단어는 아니다. 오히려 부정적인 이미지가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나르시시즘은 인간에게 아주 중요한 요소로 높은 수준의 나르시시즘을 지닌 사람은 스스로를 훌륭하게 여기며 항상 열정이 넘치지만 낮은 수준의 나르시시즘을 지닌 사람은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자신감이 없다 못해 수치심까지 느낀다고 한다.

이렇게 나르시시즘은 사람들의 사회생활이나 대인관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나르시시즘을 조절할 줄 안다면 대외적으로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대내적으로는 평온한 내면세계를 유지할 수 있다.

'나르시시즘과 외로움'이라는 부제에 맞게 파트는 크게 내 안의 나르시시즘내 안의 외로움으로 나뉜다. 나르시시즘과 외로움이 사랑, 가족, 관계, 일상과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지 소단원을 나눠 설명하고 있는데 여러 주제들 중에 인상 깊었던 몇 가지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1. 도덕적 나르시시즘은 좋을까?

'도덕적 나르시시즘'은 관계를 거절하고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하지 않는다는 명분으로 모든 일을 스스로 해결하려 한다.

보통 도덕적 나르시시즘에 빠진 사람들은 자신의 도덕성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자신은 이기적이지 않지만, 남들은 이기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모든 상황을 혼자 판단하고 해결하려고 한다. 그래서 얼핏 보기에는 책임감이 강하고 성인군자처럼 보이기도해 남들에게 칭찬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런 칭찬은 인정 욕구를 충족시키고 스스로가 괜찮은 사람으로 느끼게 하기 때문에 좋은 평판을 유지하고 싶어 자신을 더 채찍질하게 된다. 도덕성과 착함이 남들보다 월등할수록 더 인정받기 때문에 나중에는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선까지 몰아붙이다 보면 내적 자아가 피폐해지게 되는 것이다. 남들에게 칭찬받고 트집잡히지 않기 위해 강박적으로 선행을 하다 조금이라도 자신이 추구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면 죄책감과 불안감에 휩싸여 스스로를 괴롭게 만들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을 오히려 나쁜 사람으로 만들어 버리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이라면 당연히 화가 날 때도 있는 법인데 계속해서 분노를 억누르면 결국 그 분노는 내면으로 향해 스스로를 공격하기도 한다. 그래서 도덕적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이라도 분노의 에너지를 자연스럽게 표출할 줄 알아야 상대방과의 원만한 상호작용도 가능하다.

2. 미루기는 대상에 대한 신뢰 부족이 원인이다.

해야할 일이 있는데 왠지 모르게 계속 해서 미루다 결국 코 앞에 닥쳐서야 처리할 때가 있다. 미리 미리 할껄 이라고 후회하면서도 매번 미루는 일이 반복되게 되는데 저자는 심각한 미루기반드시 해야하며, 완벽하게 완성해야 한다는 명령에 대한 저항 이라고 보았다.

내가 완벽하게 해내지 못할 때 상대방은 나에게 실망할 것이라고 여기며 불안해 하는데, 상대방에 대한 이런 신뢰 부족은 스스로를 점검하고 자신이 완벽하게 해낼 수 있을 때 일을 해야한다고 믿게 만든다.

일을 미루지 않으려면 일단 잘하려는 마음과 가장 완벽하려는 마음을 내려놓아야 하며, 부족한 신뢰를 충족시킬만한 의미 부여가 필요하다. 즉 본인이 스스로 강렬하게 이루길 원하는 꿈과 같은 일을 좇을 때 미루는 증상은 나아진다.

3. 부모는 자식에게 독립을 권하라.

성인이 된 자녀가 독립하지 않고 부모님과 함께산다고 하면 보통 캥거루족(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사는 젊은이)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의외로 부모가 자신의 욕망을 자식에게 전가해 자신이 이루지 못한 일을 강요하거나 대신 달성해주길 바래서 독립시키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물론 부모인 자신들보다 더 나은 삶을 살길 바라는 선의에 의한 것이기는 하나 정작 아이에게는 심리적, 정서적 압박이 된다.

하지만 결국 사람은 자신을 위해 살 때 폭발적인 생명력을 보이며, 진짜 자기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부모는 자녀에게 선택권을 주어 원하는 길을 갈 수 있도록 독립을 격려해야 한다.

4. 보답을 바라는 희생은 하지 마라.

일반적으로 '희생'이란 고귀하고 존엄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심리학에서는 '희생' 을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희생에는 도덕적 우월감이 수반되며 희생을 받는 상대방에게는 빚을 졌다는 느낌과 죄책감을 불러 일으킨다. 이런 심리작용으로 희생하는 자가 더 우위에 올라서게 되는 것이다.

희생받는 사람은 누군가가 나를 위해 희생했다는 생각에 자신을 위한 선택이 아니라 상대방의 눈치를 보며 자주성과 주체성을 잃게 된다. 그리고 희생하는 사람 또한 자신이 생각하는만큼 상대방이 고마워하지 않거나 원하는대로 반응하지 않을 때는 원망하는 마음이 생기고, 그 원망이 강해지면 원한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하지만 어떤 희생도 희생만큼의 보답은 받기 힘들기 때문에 결국엔 남을 위해 희생하는 인생이 아니라 자신을 먼저 보살피고 사랑하는 것이 인생에 아쉬움과 원망을 남기지 않는 방법이다.

5. 자기 소멸은 사랑이 아니다.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할 때 상대방이 원하는대로 자신을 바꾸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이 상대방의 환심을 살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인데 역설적으로 자신을 바꿀수록 상대는 나에게 흥미를 잃어버리고, 무조건 상대방에 맞추려고 하는 사람은 불만이 쌓이게 된다.

이런 상황에 대해 저자는 이렇게 조언한다.

사랑에 너무 애쓰면 오히려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두 사람 모두 불편을 느끼고, 그 중 한 명은 자신의 감정이 억압된다고 느낄 수 있다. 자신을 억누르며 상대에게 애쓰는 노력은 사랑에 인위적인 느낌만 줄 뿐이다.

상대에게 자신이 좋은 사람인지 입증받으려 하지 말자. 온전히 좋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신이라도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사랑하고 받아들일 때 상대는 그 모습을 사랑하게 된다.

p.224

겉으로 드러나보이는 현상 속에 어떤 심리가 내재되어 있는 것인지, 그리고 그런 숨겨진 심리의 원인이 무엇이며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진정으로 행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저자의 견해를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우리가 흔히 훌륭한 덕목이라고 생각했던 희생, 도덕, 완벽함, 순종이 실제로는 어떠한 마음에서 발현된 것인지 스스로 자각할 수 있다면 온전한 자신으로 나답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