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링 미 백
B. A. 패리스 지음, 황금진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비하인드 도어>를 통해 혜성같이 데뷔한 B.A.패리스는 이후에도 쉬지 않고 <브레이크다운>, <브링미백>까지 연달아 스릴러 장르를 선보임으로써 데뷔작의 성공이 절대 우연이 아님을 증명해보인다.

비하인드 도어에서도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섬세한 심리묘사를 선보였는데 이번 작품에서도 역시 주인공인 핀의 시점에서 누가 범인인지 알 수 없어 의심스럽고 혼란스러운 심리를 탁월하게 그려낸다.

20대 초반의 어린 나이에 우연히 만나게 된 핀과 레일라는 만난지 1년 만에 결혼을 생각할 정도로 서로에게 깊이 빠져들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두 사람은 레일라가 평소에 가보고 싶어하던 파리로 여행을 가게 되는데 핀이 화장실을 다녀온 잠깐 사이 레일라가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이후 핀은 경찰에 레일라의 실종사실을 신고 했고, 다음날 경찰은 그 날 핀이 주차했던 지점 옆에서 레일라가 항상 지니고 다니던 작은 러시아 인형과 뭔가에 질질 끌려간 듯한 흔적을 발견한다. 이 후 경찰은 잠깐동안 핀을 의심했지만 결국 증거부족으로 풀려나고, 레일라는 마치 원래부터 없었던 사람처럼 그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게 12년이 흐르고 핀은 레일라의 추모식에서 만난 레일라의 언니, 엘런과 결혼을 약속하는 사이로 발전하게 된다. 그렇게 모든게 잊혀지고 엘런과의 결혼을 앞두고 있던 어느 날 레일라가 항상 지니고 다니던 러시아 인형이 집 앞에서 발견되고 핀은 의문의 인물로부터 한 통의 메일을 받게된다. 이 때부터 핀과 의문의 인물과의 줄다리기가 시작되는데, 이 사람은 과연 12년동안 사라졌던 레일라일까 아니면 그 날 레일라를 데려간 또 다른 인물인 것일까.

전작들에서도 그랬지만 이번 작품에서도 역시 주인공의 불안한 심리 묘사가 돋보이는데 범인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주변인물들을 의심했다가 믿었다가 또 다시 의심하기를 반복하며 뒷 이야기를 궁금하게 만드는 전개로 책장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흡입력을 보여준다.

그런데 스릴러인만큼 결말이 중요하기 때문에 독자들을 현혹시킬만한 미끼들을 여기저기 던지며 진짜 범인을 추측하게 만드는데 그 미끼들이 이야기 초반부터 약간 노골적이라 스릴러 매니아들에게는 오히려 그 떡밥들을 물지 않고(?) 다른 결말을 예측할만한 여지를 주는게 아닌가 싶어 약간의 아쉬움이 있었다.

"이게 내가 프랑스 A1 고속도로 부근 어딘가에 있는 경찰서에 앉아 경찰에 한 진술이었다. 진실이었다.

온전한 진실이 아니었을 뿐"

P13

내가 정말 바라지 않는게 한 가지 있다면, 그건 레일라가 아직 살아 있을지 모른다고 엘런이 생각하는 것이다.

나는 엘런이 덧없는 희망을 품는 게 너무 싫다.

P41

주인공은 계속해서 러시아 인형을 집 앞에 놓아두고 메일을 보내는 사람은 절대 레일라가 아닐 거라고 생각하고 주변의 다른 모든 사람들을 의심하는데 정작 독자들에게는 주변사람들보다 오히려 주인공이 의심스러워 보이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핀에 대한 의심을 놓치 못하게 만든다. 핀이 어린시절부터 분노 조절 장애로 한 번 화가나면 화를 주체하지 못하는 폭력적인 성향이 있었다는 것과 사실 레일라의 실종 당시에도 이성을 잃어 레일라가 실종된 상황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등 주인공 스스로도 본인이 정말로 레일라를 죽였던 것은 아닌지 의심하는 상황에 다다른다.

하지만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레일라가 죽은 게 아니라 정말로 살아있을지 모른다는 것을 보여주며 기존에는 주인공인 핀의 시점에서만 전개되던 이야기들이 레일라의 시점을 통해 서술된다. 이후 계속해서 레일라와 핀의 시점이 번갈아가며 진행되고 어째서 레일라가 12년 동안 사라졌다가 언니인 엘런과의 결혼을 앞둔 지금 시점에서 다시 나타난 것인지 서서히 비밀이 밝혀진다.

앞서 말하기도 했지만 범인이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 때문에 이런 짓을 저지른 것인지는 알 수 없어도 여러가지 떡밥들로 인해 누구인지는 어렴풋이감이 오기는 한다. 스릴러라는 장르 자체가 마지막에 범인을 알아맞추는 것에 포커스를 두다보니 대부분의 스릴러는 범인을 미리 알게 될 경우 김이 새는 경우가 있는데 다행히 이 소설은 범인이 누구인지 예상돼도 재미가 반감되지는 않는다. 아무래도 작가의 특기가 심리묘사인만큼 이런 상황에 처한 주인공이 느끼는 초조,불안,공포와 같은 감정을 독자들도 함께 느끼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사건보다는 인물에 몰입하게 만들기 때문인 것 같다.

이야기의 전개 면에서 소소하게 아쉬운 점들이 있긴했지만 B.A.패리스는 이번 작품에서도 역시 흡입력있고 가독성 높은 이야기를 보여줌으로써 스릴러 작가로서의 자신의 대중성과 흥행성을 증명해보이며 믿고 보는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히게 됐다.

책은 개인의 취향이 있기 때문에 섣불리 추천하기 어려운데 B.A.패리스의 책은 누구에게 추천하든 최소한 재미없다는 이야기를 들을 일은 없을 것 같아 히가시노 게이고처럼 대중적으로 누구에게나 추천하기 좋은 작가 리스트에 올려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