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쳐다보지 마 스토리콜렉터 67
마이클 로보텀 지음, 김지선 옮김 / 북로드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마이클 로보텀은 국내에서도 많은 팬을 거느린 작가다. 쉬지 않고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조 올로클린 시리즈는 국내에 출간될 때마다 베스트셀러 자리를 놓치지 않는 작품이다.
이 시리즈의 주인공은 조 올로클린이라는 심리학자로 파킨슨병을 앓고 있다. 여전히 사랑하고 있는 전 아내(?)가 어쩐일인지 올 여름엔 두 딸과 함께 시간을 보내자고 해서 혹시나 재결합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에 한껏 부풀어 있는데 느닷없이 모녀 살인사건의 프로파일링을 맡아 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었던 조는 일을 맡고 싶지 않았지만 자신의 수제자(?)를 자처하는 사기꾼 같은 인간이 조의 이름을 팔아 수사에 참여한 뒤 언론에 모든 단서를 떠들어댄 덕분에 어쩔 수없이 요청을 수락하게 된다.


스토리는 크게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범인의 어린 시절로 추정되는 한 아이의 이야기와 살인사건을 추적해가는 현재 조의 이야기이다
아이의 이야기는 한 주부의 교통사고로부터 시작된다. 아이의 엄마는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사망하게 되는데 사망 당시 아버지가 아닌 다른 남자와 불륜을 저지르다가 즉사한다.
그 이후로 동네 아이들은 엄마가 어떻게 죽었는지 뒤에서 수군거렸고 아버지는 무차별적인 폭력과 함께 죽은 아내에 대한 분노를 쏟아낸다.


이야기는 다시 현재 발생한 모녀 살인 사건으로 돌아간다. 엄마와 딸이 한 집에서 죽은 채로 발견됐는데 딸은 자신의 방에서 아무런 외상없이 침대에 누워 마치 잠든 것 같은 모습이었고, 딸의 엄마는 성기부분을 서른 여섯 차례나 찔린 채 처참한 모습으로 죽어있었다.
조는 이 사건을 조사하던 도중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다른 사건들까지 파헤치기 시작하고, 거기에 자신과 같이 심리학자를 꿈꾸는 큰 딸이 사건에 끼어들어 가족들까지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용의자들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조의 냉철하면서도 따뜻한 면모가 이번 작품에서도 여전히 잘 드러났지만 전반적으로 긴장감이나 긴박감은 예전 작품들에 비해 약간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도 그럴것이 용의선상에 올라있는 인물들 자체가 범죄자들이 아닌 피해자 주변의 평범한 사람들이다보니 위험에 처할만한 상황 자체가 별로 없을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사건에 대해 말하고 싶어하지 않는 피해자들의 진술을 이끌어내거나 뭔가를 숨기고 있는 용의자들과의 심리전은 여전히 흥미로웠고 조의 시점에서 진행되는 내밀한 심리묘사도 여전히 좋았다.


이야기의 중후반까지도 여전히 범인에 대한 윤곽이 잡히지 않은 채로 탐문수사가 이어지는데 조가 미처 보지 못한 결정적인 단서를 조의 딸이 발견하게 된다.
이후 사건은 급물살을 타며 전개되는데 거의 후반에 다다라서 범인이 밝혀지고 검거되기까지의 과정이 엄청나게 스펙타클하다. 범인이 누구인지 알기 전까지의 긴장감이 50정도라고 하면  범인이 밝혀지고 결말에 이르까지가 100 정도의 긴장감이 느껴졌다. 앞부분에 다소 평이하게 느껴졌던 탐문과정은 이 마지막 결말을 위해 힘을 아껴둔 거였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작품은 사건 자체의 잔혹성이나 미스터리로 인한 긴장감보다는 인물들의 내밀한 심리묘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래서 살인사건보다는 평범한 인간이 어떤 성장과정을 거쳐 살인범이 됐는지 구체적인 서사와 심리 위주로 스토리가 진행된다 . 
그래서 작가도 이야기 시작 전 가장 첫 장에서

가정폭력의 모든 피해자들에게 바칩니다.
우리 중 누구도 결코 눈 감고 외면하는 일이 없기를

 

이라고 써놓음으로써 어떻게보면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을 법한 이 소설의 주제를 명확하게 보여주는데 집중한다.
그 이후 스토리 또한 살인사건이 아니라 범인의 과거 이야기를 먼저 시작함으로써 독자들도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자연스레 다시 한 번 더 생각하며 몰입하게 된다.
또 사건 현장을 구체적이고 자극적으로 묘사해 강조하기 보다는 탐문을 진행해가는 조의 모습을 따라가기 때문에 범인에 대한 극단적인 불쾌함이나 거부감보다는 객관적인 입장에서 범인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런 범인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이 독자들로 하여금 약간의 동정심을 불러일으켜 사건의 개연성을 높여주는데 도움이 됐다.

 

그래서인지 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범인의 잔인함보다는 오히려 작가의 잔인한 면(?)을 더 절실히 느끼게 된다. 작가는 도대체 조를 얼마나 더 벼랑 끝으로 몰 셈인지. 파킨슨병으로도 이미 충분히 많은 것을 잃지 않았나. (작가, 이 잔인한 양반  ㅠㅠ) 
어쨌거나 조가 언제쯤 진정 행복해질 수 있을지, 이 시리즈의 끝이 있다면 조가 꼭 행복해지는 모습으로 대미를 장식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