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에 사랑이 없다면, 그 무엇이 의미 있으랴 - 에리히 프롬편 ㅣ 세계철학전집 4
에리히 프롬 지음, 이근오 엮음 / 모티브 / 2025년 7월
평점 :
#도서협찬
📚삶에 사랑이 없다면, 그 무엇이 의미 있으랴
📗이근오 엮음
📘모티브
🩵
사랑은, 인간 존재에 대한 이성작이고 만족스러운 유일한 해답이다.
-에리히 프롬은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기술이며, 배우지 않으면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책은 그의 저서 <소유나 존재냐>와 <사랑의 기술> 그리고 <자유로부터의 도피>의 내용을 토대로 현대에 맞게 재구성되었다.
삶의 중심에 사랑이 없으면 인간 존재의 의미는 희미해질 수 있고 우리가 어떤 태도로 사랑하고 있는지, 소유나 억압의 방식이 아닌 존재 중심의 사랑을 말한다. 즉 존재의 삶, 되어가는 삶에 집중해야 사랑이 진정한 의미를 갖는다.
나는 지금 어떤 사랑을 하고 있는지, 사랑에 대한 에리히프롬의 철학이 맞다면 존재 중심의 사랑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게 한다.
📖
우리가 살면서 지식을 배울 때 얼마나 많은 정보를 가졌느냐가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얼마나 깊이 생각하고 스스로 성장했느냐로
볼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프롬은 존재 중심의 학습이야말로 진정한 지식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도 무엇인가를 배울 때 존재의 방식으로 학습의 태도를
만들어갈 수 있으며, 끊임없이 질문하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그것을 일상에 적용하고 설명할 수 있는
현명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존재 방식의 대화는 사람과 말하면 할 수록 유대감이 형성 되고,
서로 성장하는 기회를 만들게 되어 있다.
우리도 사람과 대화할 때 나의 주장에 급급하기보다는
상대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스스로 마음을 열어 표현하는
’존재의 방식‘으로 대화하다 보면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존재 방식의 독서는 정보습득을 넘어
자기 성찰과 성장의 기회가 된다.
이들은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삶에 연결시키고,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이며,
궁극적으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수 있게 된다.
📖
“존재하는 사람은 과거에 머물지 않고,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지금, 이 순간에 살아있다.“
”행복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살아내는 능력에서 비롯된다.“
이처럼 당장의 보이는 행복을 먼저 느낄 줄 아는 사람이 되려면
눈앞의 사람을 따뜻하게 바라보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게 귀 기울이며,
작지만, 진실한 순간들 속에 나를 내어줄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 존재의 시작>
프롬이 말한 존재의 삶은 깨어있는 삶을 뜻한다.
우리는 언제든 무감각한 상태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중요한 건,
다시 깨어나고, 경계하여, 생동하고, 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존재하는‘삶의 방식이다.
존재는 경계심,생동감, 반응성을 요구한다.
< 존재를 느끼고 깨닫는 삶의 방식>
#삶에사랑이없다면그무엇이의미있으랴
#세계철학전집 #에리히프롬 #이근오
#철학에세이 #책추천 #필사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