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육, 아이의 미래를 멘토링하다
조진표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최근 신문기사에서 조진표 와이즈멘토 대표에게 듣는 진로교육의 노하우 기사를 읽고, 주니어김영사의 <진로교육, 아이의 미래를 멘토링하다> 책을 더 관심있게 읽었어요. 역시 진로교육 전문가가 말하는 가장 이상적인 진로 코칭 노하우는 누구나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알지만 그 시기가 문제이지 않느냐는 생각까지 바꿔놓을 정도로 '진정한 진로교육의 해답을 제시하는 진로 혁명서'라는 칭찬이 전혀 아깝지 않네요. 

 

 특히 입학사정관제, 자기주도 학습 전형, 교육과정 개정 등 변화하는 요즘 시대에 당연히 우리 아이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는 부모라면 더 더욱 관심있게 진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는 듯 하죠. 그 시작은 요즘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자기 주도 학습에 관한 얘기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무엇보다 자기 주도 학습을 잘하려면 뚜렷한 목표와 공부습관이 잘 잡혀 있어야 한다는 건 이젠 누구나 잘 아는 얘기죠.

 

 

 

 

 그렇지만 이때 목표를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진로 선택이라는 건, 누가 말해주기 전에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사실. 무조건 진로보다는 좋은 대학을 목표로 열심히 공부를 해야 성공한다는 부모 생각에 가려 많은 부모가 자녀에게 꿈을 꾸라고만 말할뿐 꿈을 꾸는 방법을 가르쳐 주지 않고 오직 공부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는 의미같아 뜨끔하죠. 그도 그럴것이 아무리 시대가 변해도 공부는 부모들이 생각하는 인생에서 성공의 지름길처럼 보이기때문에 성적이 나쁘면 실업계, 성적이 좋으면 인문계라는 옛날이야기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게 현실이잖아요. 

 

 게다가 부모들조차 제대로 진로교육을 받아 본 적이 없어서 부모 세대가 가진 틀을 깨고 내 아이의 적성을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진로를 설계하는 방법이 낯설죠. 일단 내 아이의 적성을 파악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를 객관적으로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라 실제로 대부분의 부모들은 매번 아이의 성적표를 보면서도 나쁜 점수는 금방 잊어버리고 가장 높은 시험점수만 기억한데요. 그러면서 부모들의 지나친 과대평가와 욕심이 아이들을 지치게 한다는 게 문제고요.

 

 

 실력은 공부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공부는 성실성을 키우는 수단으로 그치고 비록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 다른 아이들보다 결과가 안 좋다면 우리 아이는 공부 이외의 다른 재주가 있을 수 있다는 열린 시각으로 아이를 관찰하는 것이 부모 몫이지 부모 마음대로 한 두 가지 직업에 맞춰서 아이의 미래를 단정짓지 말라는 얘기네요. 끊임없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아이를 관찰하다 보면 반드시 실력의 싹이 어느 순간 보이면서 사회의 어느 분야에서 실력을 발휘할 그 날이 진정 아이가 원하는 행복한 미래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러기 위해선 일단 고등학교까지는 아이를 관찰하는 시기로 삼되, 초등학교때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아이가 어느 분야를 좋아하는지 자녀의 적성을 파악하고 진로를 탐색하면서 아이의 꿈 이야기를 편견없이 받아주는 것이 중요. 중학교때 되어 진로에 대한 교육을 본격적으로 시켜 내 아이에게 맞는 계열을 선택하고 고등학교때 학과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과정으로 이에 따라 부모의 역할도 어떻게 달라지는 지 체크해 두면 좋을 거 같아요. 

 

 결국 공부에 기준이 아닌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거기에 좋아하면서 잘하는 것에 기준을 맞추면 아이의 성적이 좋고 나쁘다고 해서 아이에게 실망하지 않을 뿐더러 예전처럼 고등학교 졸업할때까지 가슴 조이며 학교선생님께 의존하지도 않을 거 같아요. 또한 오늘날과 같은 자율과 경쟁의 시대에서 어떤 유형의 아이가 어떤 평가를 받는지, 바뀐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전략이 왜 필요한지 분명히 알 수 있어요.

 

 곧 다가오는 여름방학부터 시기별 진로 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코칭법을 참고하여 이전에 학원중심의 공부계획으로 짜였던 방학계획을 자녀가 좋아하는 다양한 체험, 여행으로 아이의 꿈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 어느 때보다 기억에 남는 여름방학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