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3장, ‘무대에 올린 셰익스피어’에서는 『오셀로』와 『뜻대로 하세요』를 통해 인종, 젠더와 성별 문제를 탐구한다. 영화 『폭풍우』에서는 종래 비평적 관심사였던 식민주의가 아닌, 감독들이 창조자로서 비전을 실현하는 방식을 들여다본다. 2부에서는 코미디, 사극, 비극, 로맨스라는 장르적 분류를 통해 극을 분석하는 비평들을 소개한다. 매커보이는 셰익스피어 희곡을 그 시대에 대해 우리가 알 수 있는 문서, 시대적 산물로 파악해야 한다고 한다. 


많은 이야기에서, 여성에게 강조되는 미덕은 침묵과 인내의 복종이다. 초서의 그리젤다는 미덕을 시험당하며 남편이 주는 모욕과 고통을 온순하게 받아들인다. 로마 전설과 셰익스피어의 극에서 루크레티아는 강간을 당하였으나 가족의 명예를 위해 남편과 아버지 앞에 자결한다. 이런 여성을 지배하는 남성의 권력은 물리적 힘에 기인한다. 군사적, 법적 권력은 온전히 남성의 손에 있었다. 여성에게는 이에 맞설 수단이 없었으나 입을 열어 말을 할 수 있었다. 즉 여성의 말하기는 요구와 소망을 드러낼 유일한 방식이다. 

그렇기에 가부장제 아래서 여성의 말하기는 통제될 필요가 있었고, 통제되지 않은 여성들의 말은 잔소리와 불평으로 여겨진다. 남성들은 여성의 본성을 무절제하다고 여겼고, 성적으로 난잡한 것과 말을 많이 하는 것을 동일하게 보았다. 이는 여성의 성이 그들에게 강력한 위협이 되었기 때문이다. 아내의 정절을 확신할 수 없다면, 자신의 모든 것을 상속받을 자녀를 의심하게 되고 이는 적장자 상속 체계를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남성들에게 불안감을 주는 핵심적 부위인 여성의 입과 질은 반드시 억제되어야 했다. (『겨울 이야기』의 레온테스는 아내가 임신한 아이가 자기 아이가 아니란 의심한다.)

이념Ideology이 아무리 강력하고 지배적일지라도 그것은 규칙이 아니며, 모든 계층이나 사람들에 걸쳐 적용되는 엄격한 사고방식이 아니다. 오히려 이념은 사회의 통상적 행동을 보여주는 ‘규범’의 신화로 이해할 수 있다. 당시 여성의 지위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지만, 만약 가부장제가 강력했다면- 잔소리꾼, 극 중에서 권력과 권위를 가진 강력한 여성 파울리나가 등장하는 『겨울 이야기』가 대중 앞에서 공연될 수 있었을까?

『폭풍우』에서 식민지를 건설할 땅과 여성의 신체가 연계되는 것은 여성에 대한 남성의 태도, 여성의 성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준다. 리처드 윌슨의 주장에 따르면, 셰익스피어의 후기 극에서 남성은 여성에 의해 주관되어 왔던 수태, 임신, 출산을 통제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배는 신비스럽지만 필수적인 ‘타자’인 여성에 대한 욕망과 두려움에 바탕한다. 이 지배는 당시 사회에 작동하던 계급, 문화, 인종에 의한 지배의 견본- 불안정한 지배였다.

복수를 정당화하는 셰익스피어의 일부 대사들은 태생, 인종, 성별과 상관없이 모든 인간은 일반적인 육체적 특성을 지녔으며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행위도 정당화한다. 『베니스의 상인』에서 유대인 샤일록은 자신이 기독교인과 다를 것이 없으며, 그들과 똑같은 존경을 받을 자격이 있으므로 자신의 복수를 정당화한다. 『리어 왕』에서 에드먼드는 서출인 자신의 인성과 적장자인 에드가의 인성에 별반 차이가 없으며, 자신 역시 아버지의 상속 재산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선언한다.

『오셀로』의 에밀리아는 샤일록과 에드먼드처럼 인간의 공통된 신체 특징을 내세워, 여성도 결혼에서 평등한 욕구와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혼은 동등한 두 사람의 계약이며 계약의 위반에는 제재가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에밀리아는 남편의 부정은 ‘오락’으로 여겨지나 아내의 부정은 죽어 마땅하다 여겨지는 근본적인 불공평을 지적한다. 이는 작품의 핵심이고 오셀로의 사고방식이다. 키어난 라이언은 에밀리아의 이 대사가 놀라운 추정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가정에서 남자가 여자를 소유하고 지배한다는 사고방식에 따르면, 데스데모나가 실제로 카시오와 부정을 저질렀을 경우 오셀로의 아내 살해가 정당하다는 것이다.

데스데모나는 부정을 저질렀다는 비난을 받고 정말로 외도하는 아내들이 있느냐 묻는다. 이에 에밀리아는 외도하는 남편을 둔 아내들의 복수를 정당화하며 여성의 평등과 관리를 주장한다. 이러한 인물의 등장은 셰익스피어가 ‘당시에는 급진적이던 생각’에 동조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복수는 사회의 부당한 서열에 정의와 평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셰익스피어의 극에 대한 배경 설명과 세대별로 달라지는 비평은 좀 더 깊이 작품을 읽는데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