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에 부역한 전범들 중 아이히만(Eichmann)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히틀러의 명령을 받아 유태인 숙청을 깔끔하게 수행 했던 인물이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남미에 숨어있던 그는 이스라엘 정보기관에 의해 체포되었고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 넘겨진다.

그의 재판 과정은 전세계에 중계된다. 아이히만은 이 재판에서, 유태인을 의도적으로 살해할 의도는 없었으며 “단지˝ 상부에서 지시한 일을 수행했을 뿐, 이라면서 자신은 피해자이자 무죄임을 주장한다.

정치 사상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아이히만의 모든 재판과정을 지켜보고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라는 책을 쓰는데, 이 책에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 라는 유명한 구절이 등장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악의 평범성 대신 악의 진부성이라는 번역어를 사용한다고 한다.-

아이히만은 유능하고 충실하고 순종적이면서 야망도 별로 없는, 쉽게 말해 부려먹기에 딱 좋은 인간유형이다. 이와 같은 인간은 자기가 어떤 일을 하는지 모르면서 사회에 거대한 악을 행하고도 죄책감 같은 것은 전혀 느끼지 못한다. 피해자의 고통에도 둔감하다. 혹여 죄책감 비슷한 것을 느끼더라도 ‘내가 아니라도 누군가는 했을 일‘, ‘가족을 먹여 살리려면 해야만 하는 일‘, ‘내 일을 충실히 하는 것일 뿐” 등등의 이유를 들어 스스로 면죄부와 면벌부를 주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한다.

연쇄살인범만이 악마는 아니다. 우리 주변에 아이히만과 같은 평범한 악마는 얼마든지 많을 수 있다. 악마는 머리에 뿔이 나고 온몸에 털이 듬뿍난 괴물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나는 오늘 TV 에서 또 한명의 악마를 보았다. 살아있는 악마인 그와 그의 부인에게 뉘른베르크 판결문 중 한 구절을 읽어주고 싶다.

˝실제로 피해자를 살해한 사람과 거리가 얼마나 떨어져 있었는지는 책임범위에 조금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책임의 정도는 자신의 두 손으로 치명적인 살해도구를 사용한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증가한다.˝

내가 악마라고 부르는 그가 80년 어떤 도시에서 총을 들고 사람을 직접 죽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80년 그날 벌어졌던 살육은 모두 그로부터 나왔다. 그 도시와 총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있었던 그에게서.

한나 아렌트가 80년 한국의 어떤 도시와 대머리 장군을 먼저 보았다면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분명 <광주의 xxx>이라는 책이 되었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시무스 2019-03-12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오늘 정말 어울리는 멋진 문장입니다!